<1월 19일 미국 주식 시황>
→ 1월 18일) 골디락스? 소비가 유지되야 가능한 이야기
→ 전년 대비 근원 생산자물가지수(12월) 5.5%(예측 5.7%), 생산자물가지수(12월) 6.2%(예측 6.8%)
→ 전월 대비 근원 생산자물가지수(12월) 0.1%(예측 0.1%), 생산자물가지수(12월) -0.5%(예측 -0.1%)
→ 전월 대비 근원 소매판매(12월) -1.1%(예측 -0.4%), 소매판매 (12월) -1.1%(예측 -0.8%)
생산자물가 지수(PPI)의 하락은 이후, 다음달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추가로 하락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금리 정책을 정하겠다고 밝힌 Fed입장에서 볼 때, 어느 정도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오히려 소매판매에 있습니다. 소매판매의 감소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감소로 해석할 수 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소비자체가 위축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소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만큼 소비감소는 미국 경제에 큰 악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가 하락하면서 미국이 골디락스 상황에 진입한 것이 아닌가에 대한 의견이 많습니다. 실제로 생산자물가 지수(PPI)가 하락하면서 향후 소비자물가 지수(CPI) 또한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세를 이어갈 확률이 높아졌기 때문에 이러한 의견에 힘이 실리는 것인데요.
하지만, 그 모든 상황은 미국의 소비가 살아있을 때를 말합니다. 따라서 과도하게 낙관적인 관점보다는 미국인들의 소비심리와 임금 상승률 추이를 보면서 투자에 임하는게 좋겠습니다.
→ 1월 19일) 미국 노동시장 과열? 다른 것에 주목하자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가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노동시장이 여전히 뜨겁다는 뉴스가 많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기 힘든데요. 그 이유는 이미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과 비슷한 상황에 도달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만으로는 노동시장이 과열되었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오히려 노동시장의 과열은 임금상승률을 통해서 실제로 노동을 통해 사람들이 얻는 소득이 증가했는지를 살펴봐야하는 것 입니다.
개인적으로 오히려 어제 주식시장의 상승을 막고 있는 것은 미국의 부채한도 이슈가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월 5일) ISM 제조업고용지수 (12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12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76% / S&P500 -0.76% / 나스닥 -0.96% / 러셀 2000 -0.97%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미국 부채한도, 채권 시장에 미치는 영향? _23년1월20일
→ 1월 17일) 일본 금융정책회의 결과 일본 금융정책회의 결과가 현재 금융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는데요. 발표 직후, 엔화가 급락하고 닛케이 지수는 급등하는 모습이 나타났습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넷플릭스(NFLX) 시간 외 7% 급등! _23년1월20일
→ 1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MSFT), 1만명 해고 발표! 알파벳,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들이 비용을 낮추기 위해 직원을 해고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으셨을텐데요.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비용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예상보다 좋은 실적으로 주가는 상승 _23년1월25일 (0) | 2023.01.25 |
---|---|
미국 주식 시황) 지수만 보면, 컵 앤 핸들(Cup and Handle) 패턴 _23년1월24일 (1) | 2023.01.24 |
미국 주식 시황) 골디락스? 소비가 유지되야 가능한 이야기 _23년1월19일 (0) | 2023.01.19 |
미국 주식 시황) 모건스탠리와 골드만 삭스의 관점 차이 _23년1월18일 (0) | 2023.01.18 |
미국 주식 시황) 미국 실적 시즌, 양호한 은행주 어닝 결과! _23년1월14일 (1)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