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주식 시황

미국 주식 시황) 모건스탠리와 골드만 삭스의 관점 차이 _23년1월18일

by O.A. Balmy 2023. 1. 18.
반응형

<1월 17일 미국 주식 시황>

→ 1월 13일) 미국 실적 시즌, 양호한 은행주 어닝 결과!

23년 1월 13일 금요일 미국의 은행들에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JP모건, 씨티그룹,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모두 우려와는 다르게 좋은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실적 증가의 이유는 높은 금리로 인한 대출 이자 수익이 증가로 인해 수입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실적 발표 일정) 미국 주식 4분기 어닝 일정 및 결과(23년 1월 9일~1월13일)

23년 1월 9일~1월13일까지 어닝 일정 어닝 발표일뿐만 아니라 발표 시간도 매우 중요합니다. 당일 주식 시장에 어닝 결과가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당일 해당 주식을 추가 매수해야 할지, 매도

hamond.tistory.com

미국 은행별 실적 발표 결과

 

하지만, 좋은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컨퍼런스 콜에서는 오히려 향후 전망을 어둡게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특히 은행들 모두 대손충담금에 더 많은 비용을 할당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이는 향후 이자상환 불이행이나 파산 등이 증가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1월 17일) 모건스탠리와 골드만 삭스의 관점 차이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의 실적이 크게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주당순이익과 매출 모두 어닝 쇼크를 보여주었고, 모건스탠리는 어닝비트를 나타낸 것 입니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그리고 JP모건 체이스까지 합하여 세계 3대 투자은행이라고 부르는데요. 그 만큼 업계에서 오래되고 영향력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은행에 실적이 크게 엇갈리게된 이유는 자산 관리 사업 분야에서 입니다. 골드만삭스는 해당 분야에 대해 27%수익이 감소한데 비해 모건스탠리는 6%수익이 오히려 증가하여 전체적인 매출에서도 큰 차이가 나타나게된 것이죠.

 

Goldman Sachs posts its worst earnings miss in a decade as revenue falls while expenses rise

Goldman Sachs on Tuesday posted its biggest earnings miss in a decade.

www.cnbc.com

골드만삭스 어닝 관련 외신

 

재미있는 사실은 골드만삭스는 시장을 중립적으로 보는 시각으로 자산을 관리하며, 모건스탠리는 상당히 시장을 부정적인 시각에서 관리한다는 것 입니다. 이러한 시각 차이로 인해 모건스탠리는 일찍부터 비용 절감을 위해 직원을 해고하는 등에 조치를 취해왔었습니다.

 

 

Morgan Stanley shares jump nearly 6% as bank's earnings top estimates on record wealth management revenue

Morgan Stanley fourth-quarter earnings are down sharply from last year, but were able top analysts expectations.

www.cnbc.com

모건스탠리 어닝 관련 외신

 

22년은 자산 시장이 계속 하락세였기 때문에 아무래도 베어리쉬한 관점에서 자산을 운용했던 모건스탠리가 더 좋은 평가를 받는 것 같습니다. 베어리쉬한 관점이였던 만큼 주식보다는 적극적인 채권 운용이 돋보였던 것 같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월 5일) ISM 제조업고용지수 (12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12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출처 : CNN Business

 

미국 주요 지수

다우 -1.14% / S&P500 -0.20% / 나스닥 +0.14% / 러셀 2000 -0.17%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