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2일 미국 주식 시황>
→ 1월 12일) 미국 CPI는 중국 PPI를 보면 가늠할 수 있다.
12월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전월대비 0.0%(예측 -0.1%),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대비 1.8%(예측 1.8%), 중국 생산자물가지수 전년대비 -0.7%(예측 -0.1%)
중국 생산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중국은 글로벌 공장이라고 불리우는 만큼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 하락은 글로벌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데요. 따라서 이러한 발표 결과는 이후 발표될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 하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CPI) 발표는 오후 10시 30분 입니다.)
→ 1월 12일) 미국 CPI 양호한 수치 발표, 주가 상승 견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12월) 전월대비 -0.1%(예측0.0%), 전년대비 6.5%(예측6.5%),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12월) 전월대비 0.3%(예측 0.3%) 전년대비 5.7%(예측 5.7%)
소비자물가 지수가 전월대비로는 예측치보다 낮게 발표되었으며, 나머지 근원 CPI는 예측치에 부합하는 수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Core CPI와 CPI 모두 하락하면서 Fed의 인플레이션 목표치 달성에 한걸음 더 가까워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무적인 사실은 전월대비 소비자물가 지수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수치를 보였다는 것 입니다. 이는 2년 6개월만에 처음 나타난 현상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월 5일) ISM 제조업고용지수 (12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12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64% / S&P500 +0.34% / 나스닥 +0.64% / 러셀 2000 +1.57%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미국 장기채 수요 증가와 장단기 금리차 역전 심화 _23년1월13일
→ 1월 10일) 환율 하락하고 외환보유고는 늘어난다? 일본에 외환보유고(USD)(12월)이 발표되었는데요. 이상한 점을 발견하였습니다. 우선 최근 한국과 일본의 달러대비 환율이 크게 하락한 것은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TSMC와 아메리칸 에어라인(AAL) 실적과 주가 _23년1월13일
→ 1월 10일) 코인베이스(COIN) 12.96%급등, 비용절감 계획 발표! 불과 일주일전에도 12.2% 상승한 코인베이스의 주가가 오늘 또 다시 13%가까이 급등하였습니다. 이러한 급등은 코인베이스측에서 비용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모건스탠리와 골드만 삭스의 관점 차이 _23년1월18일 (0) | 2023.01.18 |
---|---|
미국 주식 시황) 미국 실적 시즌, 양호한 은행주 어닝 결과! _23년1월14일 (1) | 2023.01.14 |
미국 주식 시황) 미국 CPI는 중국 PPI를 보면 가늠할 수 있다. _23년1월12일 (0) | 2023.01.12 |
미국 주식 시황) 파월,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 정책이 필요하다. _23년1월11일 (0) | 2023.01.11 |
미국 주식 시황) 금리 인상 속도 조절? 중소형 성장주에 대한 기대감 _23년1월10일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