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3일 미국 주식 시황>
→ 1월 12일) 미국 CPI 양호한 수치 발표, 주가 상승 견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12월) 전월대비 -0.1%(예측0.0%), 전년대비 6.5%(예측6.5%),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12월) 전월대비 0.3%(예측 0.3%) 전년대비 5.7%(예측 5.7%)
소비자물가 지수가 전월대비로는 예측치보다 낮게 발표되었으며, 나머지 근원 CPI는 예측치에 부합하는 수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Core CPI와 CPI 모두 하락하면서 Fed의 인플레이션 목표치 달성에 한걸음 더 가까워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무적인 사실은 전월대비 소비자물가 지수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수치를 보였다는 것 입니다. 이는 2년 6개월만에 처음 나타난 현상입니다.
→ 1월 13일) 미국 실적 시즌, 양호한 은행주 어닝 결과!
23년 1월 13일 금요일 미국의 은행들에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JP모건, 씨티그룹,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모두 우려와는 다르게 좋은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실적 증가의 이유는 높은 금리로 인한 대출 이자 수익이 증가로 인해 수입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실적 발표 일정) 미국 주식 4분기 어닝 일정 및 결과(23년 1월 9일~1월13일)
23년 1월 9일~1월13일까지 어닝 일정 어닝 발표일뿐만 아니라 발표 시간도 매우 중요합니다. 당일 주식 시장에 어닝 결과가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당일 해당 주식을 추가 매수해야 할지, 매도
hamond.tistory.com
미국 은행별 실적 발표 결과
하지만, 좋은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컨퍼런스 콜에서는 오히려 향후 전망을 어둡게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특히 은행들 모두 대손충담금에 더 많은 비용을 할당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이는 향후 이자상환 불이행이나 파산 등이 증가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월 5일) ISM 제조업고용지수 (12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12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33% / S&P500 +0.40% / 나스닥 +0.71% / 러셀 2000 +0.58%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일본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채권 시장 관망세 _23년1월14일
→ 1월 10일) 환율 하락하고 외환보유고는 늘어난다? 일본에 외환보유고(USD)(12월)이 발표되었는데요. 이상한 점을 발견하였습니다. 우선 최근 한국과 일본의 달러대비 환율이 크게 하락한 것은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미국 은행 실적 발표! 어닝은 비트! _23년1월14일
→ 1월 12일) TSMC(TSM) 실적 발표후, 6.38%주가 상승 TSMC는 주당순이익은 1.82(예측 1.78) 매출은 199.3억 달러(예측 203.8억 달러)로 EPS는 예측치를 상회하였지만, 매출은 예측에 부합하지 못했습니다. 컨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골디락스? 소비가 유지되야 가능한 이야기 _23년1월19일 (0) | 2023.01.19 |
---|---|
미국 주식 시황) 모건스탠리와 골드만 삭스의 관점 차이 _23년1월18일 (0) | 2023.01.18 |
미국 주식 시황) 미국 CPI 양호한 수치 발표, 주가 상승 견인 _23년1월13일 (0) | 2023.01.13 |
미국 주식 시황) 미국 CPI는 중국 PPI를 보면 가늠할 수 있다. _23년1월12일 (0) | 2023.01.12 |
미국 주식 시황) 파월,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 정책이 필요하다. _23년1월11일 (0) | 2023.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