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4일 미국 주식 시황>
→ 1월 19일) 미국 노동시장 과열? 다른 것에 주목하자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가 예측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노동시장이 여전히 뜨겁다는 뉴스가 많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기 힘든데요. 그 이유는 이미 신규 실업수당청구 건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과 비슷한 상황에 도달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만으로는 노동시장이 과열되었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오히려 노동시장의 과열은 임금상승률을 통해서 실제로 노동을 통해 사람들이 얻는 소득이 증가했는지를 살펴봐야하는 것 입니다.
개인적으로 오히려 어제 주식시장의 상승을 막고 있는 것은 미국의 부채한도 이슈가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1월 23일) 지수만 보면 컵앤핸들(Cup and Handle)이 나타나는 모습
오늘까지 미국 S&P와 나스닥, 러셀 지수 움직임만을 놓고 보면, 많이 보이는 차트 형태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트모양을 컵 앤 핸들 패턴이라고 말하는데요. 기술적 분석에 대해 깊이있게 연구하고 응용했던 윌리엄 오닐이 강조했던 형태입니다.
컵 앤 핸들 패턴이 나타나면 상승 추세가 이어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현재 handle부분에 상단을 뚫고 상승하였으므로 이 패턴을 믿는 투자자라면 현재 매수 시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이번주는 빅테크들이 실적을 발표하는 주인데요. 생각보다 빅테크 실적이 좋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을 반영해서 미리 이러한 패턴을 만들고 있다는 의견과 최근 급격한 상승이 연준이 긴축 정책을 더욱 강하게 할 수 밖에 없는 요인이므로 다시 한번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이 팽팽한 상황입니다.
→ 1월 24일) 예상보다 좋은 실적으로 주가는 상승
1월 24일부터 본격적인 빅테크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있습니다. 주식 시장에 관심이 기업들의 실적에 쏠려있다고 봐도 무방한데요. 현재 고금리에 높은 원자재 가격이 겹치면서 생산 비용이 높아지는 최악에 상황 속에서도 기업들이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실적 발표 일정) 미국 주식 4분기 어닝 일정 및 결과(23년 1월 23일~1월27일)
23년 1월 23일~1월27일까지 어닝 일정 어닝 발표일뿐만 아니라 발표 시간도 매우 중요합니다. 당일 주식 시장에 어닝 결과가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당일 해당 주식을 추가 매수해야 할지, 매
hamond.tistory.com
사실상 22년 주식 시장이 계속 하락하면서 어느 정도 악재를 소화한 상태에서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하락하지 않다보니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월 5일) ISM 제조업고용지수 (12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12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31% / S&P500 -0.07% / 나스닥 -0.27% / 러셀 2000 -0.22%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개인 소비지출 물가지수(PCE)에 대한 생각 _23년1월28일 (0) | 2023.01.30 |
---|---|
미국 주식 시황) 미 주택 판매, 코로나19 초기 수준 _23년1월26일 (0) | 2023.01.26 |
미국 주식 시황) 지수만 보면, 컵 앤 핸들(Cup and Handle) 패턴 _23년1월24일 (1) | 2023.01.24 |
미국 주식 시황) 미국 노동시장 과열? 다른 것에 주목하자 _23년1월20일 (0) | 2023.01.20 |
미국 주식 시황) 골디락스? 소비가 유지되야 가능한 이야기 _23년1월19일 (0)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