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일 미국 채권 시황>
→ 3월 20일) 크레디트 스위스(CS) 조건부자본 증권 모두 종이 조각!
크레디트 스위스가 UBS에 헐값에 인수되었다는 사실은 모두가 알고 계실 것 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CS주주들의 경우 주식을 UBS주식으로 전환하여 받게되는데요. 문제는 크레디트 스위스에 대한 조건부자본증권(채권에 일종)을 보유하고 있던 투자자들의 경우 해당 투자금을 보상받지 못하게되었다는 것 입니다.
조건부자본증권(코코본드)이란?
일종에 회사채로서, 발행 당시, 사전에 조건부 자본 발행요건에 명시된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아니면 상각(종이조각이되는 것)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를 말합니다.
글로벌 금융위기(2007~2008년) 당시 은행이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 발행했는데요. 그 당시에도 리먼 사태 이후, 은행들이 유동성 위기를 겪었습니다. (그 당시 상황과 현재 미국 정부 대응 또한 매우 유사합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나온 것이 조건부자본증권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아주 쉽게 이야기하자면, 기업들이 이자를 많이 주는 특별한 회사채를 기관들에게 팔아서 기관들로 부터 유동성을 공급 받고자만든 증권입니다.
하지만, 지금 또 다시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면서, CS은행이 결국 매각되는 상황을 맞이하자 주식 투자자들의 경우 주식을 UBS로 받으므로서 어느 정도 자산을 보존한 것과 반대로 오히려 조건부자본증권 보유 기관들은 돈을 모두 날리게된 것 입니다.
결과적으로
현재 유럽 중앙 은행이 금리를 50bp 추가로 인상한 시점에서 유럽의 유동성은 더욱 축소될 것이 뻔한데요. 이런 상황에서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 처럼 조건부자본증권을 발행한다고 했을 때, 과연 어느 기관이 이를 매수할까요?
상식적으로 이번 크레디트 스위스 사태를 급히 막고자 앞으로 발생할 급격한 유동성 축소에 대응할 수 있는 카드 하나를 잃어버리고만 것이 아닌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블로거 개인의 의견이며, 투자 권유나 조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책임이며, 본 글은 개인의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3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3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미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2월) →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102.9(예측 108.5) →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620.3만(44만), → 제조업
hamond.tistory.com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1.9% 예상되므로 유 사치까지 상승
장기 금리(10년 물) : 기준 금리보다는 향후 경제 전망에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 상승
※ 10년물 금리와 2년 물 금리가 함께 상승하는 것이 좋음(※3개월 금리는 예외)
▷장기 금리가 상승해야 장단기 금리차가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10년 물 금리- 2년물 금리)
→ 연준에서 양적 긴축 (QT)을 위해 10년물 채권을 매도하면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게 됨.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
-0.42에서 0.03하락한 -0.45 마감 (22년 4월 1일과 7월 6일 금리차 역전)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차
-1.24%에서 0.1하락한 -1.34%마감(22년 10월 19일 금리차 역전)
미국 10년물 / 2년물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10년물 국채 수익률 3.489 / 2년물 국채 수익률 3.9591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4.7784
국채 금리 = 국채 수익률은 채권 가격과 반비례합니다. 예를들어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는 것은 국채 수익률이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안전 자산인 채권 수요 증가]→[채권 수익률(국채 금리) 하락]입니다.
▷미국 채권 수익률 일봉 차트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4.74%에서 0.43상승한 5.17%마감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 에서 국채 수익률을 뺀 값으로, 이 값이 상승하면 시장이 위험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4% 이하로 하락해야 시장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이일드 채권은 BB등급 이하 채권으로 정크본드로 경기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국채 수익률의 하락은 채권 가격의 상승을 의미하므로,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시, 고 위험 자산인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는데요. 이는 경기침체 상황에서 각 기업의 상환 능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 미국내 기업들의 상황이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미국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다보니 생각보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미국 기업들의 매출 감소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더 크게 상승하면서 주가가 급히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FedWatch Tool
페드워치는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 정도를 보여줍니다. 미국 시장에서 발표되는 각종 지표들이 곧 바로 반영되면서 예상치가 변하기 때문에 시장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FOMC 하루 전,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 봐야할 지표 4가지! _23년3월20일
→ 3월 20일) FOMC 하루 전,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 봐야할 지표는? 미국 기준 금리 인상을 하루 앞둔 오늘 시장은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미 연준에 비공식 대변인으로 불리우는 닉 티미라오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꼭! 잊지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채권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채권 시황) 리세션 선행 지표! 장단기 금리차 변화! _23년3월24일 (0) | 2023.03.25 |
---|---|
미국 채권 시황) 연준 은행 파산 막느라 긴축(QT) 다시해야한다! _23년3월22일 (0) | 2023.03.22 |
미국 채권 시황) 미국 경제 파산! 선행 지표로 무엇을 봐야할까? _23년3월16일 (0) | 2023.03.16 |
미국 채권 시황) 하루만에 금리차 완화 기준 금리 50bp 인상 없다! _23년3월14일 (0) | 2023.03.14 |
미국 채권 시황) 은행 파산하는 상황! 50bp 금리 인상 과연 가능할까?_23년3월11일 (1) | 2023.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