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채권 시황

미국 채권 시황) 높은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기준 금리 높인다. _23년2월15일

by O.A. Balmy 2023. 2. 15.
반응형

<2월 14일 미국 채권 시황>

→ 2월 14일) 높은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기준 금리 높인다.

어제 발표된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는 예상치를 상회하며, 시장을 뒤흔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인식이 더욱 강해지면서, 국채 금리는 더 상승하였는데요.(채권 하락) 신기하게도 주식 시장은 장 초반 흔들림은 있었지만, 예상보다는 견고하게 버티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미국 채권 시장은 장기 10년물보다는 기준 금리와 밀접한 단기 2년물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고있는데요. 정리해보면, 연준이 기준 금리를 더 올릴 수는 있지만, 이로 인해 미국의 경제는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직 실적 발표 기간이기 때문에 기대감이 남아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쉽게 하락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각 개별 기업의 가치를 잘 고려하여 조심스러운 투자를 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2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1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107.1(예측 109)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0.6만(예측17.8만) →제

hamond.tistory.com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1.9% 예상되므로 유 사치까지 상승

장기 금리(10년 물) : 기준 금리보다는 향후 경제 전망에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 상승

※ 10년물 금리와 2년 물 금리가 함께 상승하는 것이 좋음(※3개월 금리는 예외)

▷장기 금리가 상승해야 장단기 금리차가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10년 물 금리- 2년물 금리)

→ 연준에서 양적 긴축 (QT)을 위해 10년물 채권을 매도하면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게 됨.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

-0.76%에서 0.04하락한 -0.80마감 (22년 4월 1일과 7월 6일 금리차 역전)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차

-1.05%에서 0.04하락한 -1.09%마감(22년 10월 19일 금리차 역전)

 

미국 10년물 / 2년물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10년물 국채 수익률 3.7530 / 2년물 국채 수익률 4.6218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4.8128

국채 금리 = 국채 수익률은 채권 가격과 반비례합니다. 예를들어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는 것은 국채 수익률이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안전 자산인 채권 수요 증가]→[채권 수익률(국채 금리) 하락]입니다.

▷미국 채권 수익률 일봉 차트

 

하이일채권 스프레드

4.05%에서 0.19상승한 4.24%마감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 에서 국채 수익률을 뺀 값으로, 이 값이 상승하면 시장이 위험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4% 이하로 하락해야 시장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이일드 채권은 BB등급 이하 채권으로 정크본드로 경기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국채 수익률의 하락은 채권 가격의 상승을 의미하므로,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시, 고 위험 자산인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는데요. 이는 경기침체 상황에서 각 기업의 상환 능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 미국내 기업들의 상황이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미국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다보니 생각보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미국 기업들의 매출 감소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더 크게 상승하면서 주가가 급히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FedWatch Tool

페드워치는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 정도를 보여줍니다. 미국 시장에서 발표되는 각종 지표들이 곧 바로 반영되면서 예상치가 변하기 때문에 시장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달러 지수를 통해보는 CPI의 심각성 _23년2월15일

→ 2월 13일) 높은 소비자물가 지수(CPI)에도 주가 급락은 없었다. → YoY 1월 소비자물가 지수 6.4%(예측 6.2%), 근원 소비자물가 지수 5.6%(예측 5.5%) → MoM 1월 소비자물가 지수 0.5%(예측 0.5%), 근원 소비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워렌 버핏도 TSMC 반도체 주식 매도! _23년2월15일

→ 2월 14일) 워렌 버핏도 TSMC 반도체 주식 매도! 22년 3분기 버크셔 해서웨이에 워렌 버핏 CEO는 반도체 섹터 중 TSMC를 선택하여 매수하였었습니다. 가치 투자자의 대가이며, 성장주를 좋아하지 않

hamond.tistory.com


꼭! 잊지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