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기업 뉴스

미국 기업 뉴스) 워렌 버핏도 TSMC 반도체 주식 매도! _23년2월15일

by O.A. Balmy 2023. 2. 15.
반응형

<2월 14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 2월 14일) 워렌 버핏도 TSMC 반도체 주식 매도!

22년 3분기 버크셔 해서웨이에 워렌 버핏 CEO는 반도체 섹터 중 TSMC를 선택하여 매수하였었습니다. 가치 투자자의 대가이며, 성장주를 좋아하지 않는 워렌 버핏이 TSMC만큼은 가치 투자할만한 기업으로 생각한 것이라며, 연일 뉴스에 도배되었었는데요. 마침 당시 미중 갈등과 대만에 대한 중국 침공설 등이 돌면서 TSMC의 주가가 많이 하락했던 상황이라 매수 타이밍도 괜찮았습니다.

TSMC차트 워렌 버핏은 대략 10%정도에 수익을 낸 후 매도한 것으 보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워렌 버핏이 TSMC를 거의 전량 매도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매수 평단은 68.56이였으며, 3분기 끝날 때 쯤은 74.49, 현재는 96.11인데요. 딱 한 분기만 보유했으므로, 버크셔 해서웨이의 매매 스타일로 봤을 때, 정말 샀다가 바로 팔았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짧은 기간입니다.

 

최근 성장주 혁신주에 투자하는 캐시우드 또한 엔비디아(NVDA)를 매도했었는데요. 가치 투자자인 워렌 버핏 또한 TSMC를 매도하는 모습을 보니, 투자자 입장에서는 반도체 섹터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게되는 것 같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2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1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107.1(예측 109)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0.6만(예측17.8만) →제

hamond.tistory.com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 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2월 13일 ETF 자금 흐름>

<2월 13일 자산군에 따른 자금 흐름>

 

미국 개별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 보기 좋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달러 지수를 통해보는 CPI의 심각성 _23년2월15일

→ 2월 13일) 높은 소비자물가 지수(CPI)에도 주가 급락은 없었다. → YoY 1월 소비자물가 지수 6.4%(예측 6.2%), 근원 소비자물가 지수 5.6%(예측 5.5%) → MoM 1월 소비자물가 지수 0.5%(예측 0.5%), 근원 소비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높은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기준 금리 높인다. _23년2월15일

→ 2월 14일) 높은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기준 금리 높인다. 어제 발표된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는 예상치를 상회하며, 시장을 뒤흔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인식이 더욱 강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