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주식 시황

미국 주식 시황)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와 OPEC+ 회의 _22년12월3일

by O.A. Balmy 2022. 12. 5.
반응형

<12월 2일 미국 주식 시황>

→ 12월 1일)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하락세

12월1일 10시30분에 발표된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가 발표되었는데요.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나면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 지표 발표에도 주가는 상승하지 못하고 약 보합으로 마감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반면, 채권 시장에서는 미국 장기채 ETF인 TLT가 3%나 급등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 시장 참여자들의 이목이 인플레이션보다는 경기 침체에 쏠려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12월 5일)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와 OPEC+회의

12월 3일 G7에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배럴당 60달러 이상의 러시아 원유에 대해서는 해상 보험 및 운송 등의 서비스를 금지한다고 밝혔는데요. 러시아는 이러한 조치에 반발하며,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 국가에게는 러시아산 원유를 판매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12월 4일 OPEC+회의에서는 원유 생산을 현행 상태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시장에서는 OPEC+가 증산할 것으로 기대했던 만큼 현행 유지 발표는 유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기존에 70달러에 팔리던 러시아산 원유가 글로벌 시장에서 사라지고, OPEC+ 또한 생산량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유가는 상승 압력을 받게될텐데요.

 

한편으로는 현재 글로벌 경기 침체가 가시화되면서 원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유가가 상승할 수 있을지 의문이듭니다. (개인적으로는 결국 공급보다는 수요가 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몇주간 원유 가격의 변화를 잘 살피면서 투자에 임해야할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 원유 가격이 다시 90불 이상으로 치솟은다면 투자에 주의해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대로 보합이나 하락 시에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그 만큼 크다는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투자할 생각입니다.

 

다만 러시아에 대한 투자는 조심할 필요가 있어보이는데요. 과거 베네수엘라 또한 글로벌 원유 판매를 제재당하면서 경제가 무너졌었는데요. 러시아 또한 이번 원유 가격 상한제에 반발하여, 원유 판매를 줄인다면, 국가 전체가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 또한 작은 가게를 운영하고 있지만, 매번 손님과 싸우기만 하는 장사꾼은 아무리 좋은 물건을 또는 맛있는 음식을 팔아도 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과 뉴스 종합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2년 1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2월 1일)10월 미국 노동부 JOLTs 보고서, 원유재고, 파월 의장 연설,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10월 미국 노동부 JOLTs보고서 1033.4만 건(예측

hamond.tistory.com

 

경제 뉴스 종합) 22년 12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및 의견 종합

1. 11월 23일)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 도입 → 11월 23일 G7과 유럽 연합에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액을 정한다고 합니다. 가격을 65~70달러 선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는 이미 유럽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 11월 28일 VIX지수가 갭상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매파적 발언이 시장에 찬물을 끼얹은 모양세 입니다.

→ 11월 30일 VIX지수가 급락했습니다. 코로나19 이전 VIX지수는 보통 15~20선에서 움직였었기 때문에 만약 추가 하락한다면 아직도 25%에 가까운 폭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10% / S&P500 -0.12% / 나스닥 -0.18% / 러셀 2000 +0.59%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유가 상승 압력과 경기 침체 우려 그리고 채권 _22년12월3일

→ 12월 1일) 파월 연설 후 채권과 주식 동반 상승 코로나19 이후 채권과 주식 시장이 함께 상승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유동성의 증가를 언급하고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인페이즈 에너지와 솔라 엣지, 거침 없는 상승 _22년12월3일

→ 11월 29일) 최근 중국 기업에 대한 상반된 의견 정리 중국 보건 당국이 최근 노인 대상에 백신 접종률이 올랐다고 보고했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완화될 것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온고지신! 미국 2014~2018년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긴축 시기! 나스닥지수 움직임은 어땠을까? 정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 긴축에 대한 나스닥 지수 움직임 2014년 테이퍼링 시작 시기 과거 2013년 5월 연준은 테이퍼링에 대해서 언급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제 시행은 2014년 1월이었습니다. 2014년 1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