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0일 미국 주식 시황>
→ 3월 10일) 실버게이트 캐피탈(SI) 42%, SVB파이낸셜(SIVB) 60% 폭락!
미국 은행 섹터 전체가 폭락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은행 섹터의 폭락은 과거 리먼 브라더스 사태를 연상시키며 주식 시장에 큰 공포감을 가져왔는데요. 하나씩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시장에 도사리고있는 위험
크레디트 스위스, 실버게이트 캐피탈, SVB파이낸셜 등에서 중소규모에 은행에서 뱅크런이 발생하는 이유는 결국 유동성 부족 문제입니다. 즉 은행에 "현금"이 없어서 클라이언트가 원할 때, 지급해주지 못하는 것 입니다.
최근 이런 일이 발생한 이유는 크게 2가지입니다.
1. 은행이 투자한 자산의 폭락 및 기업 파산으로 인한 투자 손실.
2. 높은 기준 금리로 인해 중앙 은행에서 비싼 이자로 돈을 빌려야함.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왜? 경기 침체에 대한 선행 지표일까?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왜 문제가 될까? 일반적으로는 단기채 금리가 장기채 금리보다 낮은게 정상입니다. 당연히 단기간 돈을 빌려주는 것보다 장기간 돈을 빌려줄 때, 기간에 따른 리스크가 늘
hamond.tistory.com
앞에 언급한 은행들을 예로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간단히 설명하자면,
크레디트 스위스(CS) : 아케고스 캐피탈 투자에서 큰 손실 (링크)
실버게이트 캐피탈(SI) : 암호화폐 현금화 서비스에서 큰 손실(유동성 고갈) (링크)
SVB파이낸셜(SIVB) : 벤처 기업들 투자에서 큰 손실
이렇게 큰 손실을 입은 상황에서 만회하기 위해 어떻게든 "현금"을 확보해야하는데요. SVB파이낸셜의 경우 현금 확보를 위해 22억 5천만 달러의 주식을 매도한다는 발표가 나오자 투자자들이 SVB파이낸셜의 손실에 대해 인식하고 주식을 매도하고 SVB파이낸셜에서 돈을 인출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큰 손실에 이어 이렇게 발생하는 "현금"의 인출 러쉬는 은행을 더욱 옥죄게되는 것이며, 은행이 파산에 이르는 위협이되고있는 것 입니다.
중소 은행 줄도산 위기의 전조 현상?
이러한 뱅크런을 겨우 작은 중소 은행 3곳에 문제로 보면 안되는데요. 그 이유는 은행은 은행끼리도 연계되어 서로 돈을 빌려주고 빌리는 관계라는 것 입니다. 즉 은행 한곳에 파산은 다른 은행에게 큰 손실을 입히는 것 입니다.
최근 있었던 실버게이트 캐피탈(SI)도 실버게이트 캐피탈측에서 잘못했다기보다는 FTX라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파산이 암호화폐 은행들에게 연이어 영향을 주면서 결국 실버게이트 캐피탈까지 도달했던 것 입니다.
벤처 기업들 줄도산 위기의 전조 현상?
SVB파이낸셜은(실리콘밸리은행) 주로 신생 스타트업에 저 금리로 돈을 빌려주고 향후 스톡옵션을 받는 식으로 수익을 만드는 비즈니스모델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보면, 초기 자본이 부족한 벤처기업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은행이였던 것 입니다. (게다가 실리콘밸리는 새로운 혁신 기술과 비즈니스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신생 스타트업 특성상 바로 수익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투자에 의존하여 성장한 후, 빚을 갚아나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투자를 유치하기 힘든 고금리 상황에 취약한데요. 최근 높은 기준 금리가 많은 벤처 기업들에게 타격을 주었으며, 이러한 여파가 SVB파이낸셜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만약 SVB파이낸셜이 뱅크런으로 파산에 위기까지 간다면, 새로운 신생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기존에 성장하고있던 아직 수익을 내지못하는 작은 벤처기업들은 자금을 확보하지 못하게되므로 다른 곳에서 자금을 조달해야하는 상황에 처하게되는데요. 그런데 지금 미국의 기준 금리 상황에서는 절대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없는 상황이므로 돈을 빌리지 못하고 연이어 파산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중소 기업의 파산은 그 기업과 연결된 또 다른 은행에 타격을 줄 수 있는 것 입니다.
과연 어떻게될까?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절대 가볍게 넘어갈 문제가 아닙니다.
1. 은행이 "현금"확보를 위해 "주식","채권" 등을 매도하면서 시장 급락이 올 수 있습니다.
2. 과거 리먼 브라더스 사태를 겪었던 미국인들 입장에서는 투자심리가 크게 꺾였을 수 있습니다.
3. 은행과 은행, 은행과 기업 등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곳에 파산은 다른 곳에 손해를 입힙니다.
이러한 모습을 바라보고있는 연준이 어떻게 나올지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연준이 기준 금리를 급하게 올리지 못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주가가 바로 반등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투자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번외, 혹시 하이일드 채권 진입 고민이시라면...
지금 장기채는 이미 많이 뛰었으니, 하이일드 채권 진입에 대해서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 하이일드 채권과 관련해서 일주일전부터 많은 글을 올렸었습니다. 내용이 길기 때문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리먼 브라더스를 연상시키는 상황 채권 수요 폭등! _23년3월10일
→ 3월 10일) 리먼 브라더스를 연상시키는 상황 채권 수요 폭등! 새벽 미국 채권 시장은 흡사 리먼 브라더스 사태를 연상 시키기 충분했습니다. 미국의 은행 섹터가 급락하면서 안전자산인 국채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시황) 하이일드 채권 투자에 대한 관심 증가! _23년3월7일
→ 3월 3일) 하이일드 채권 투자에 대한 관심 증가! 최근 하이일드 채권 투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게 느껴지는데요. 하이일드 채권이란?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의 채권으로 고위험 고수익을
hamond.tistory.com
※해당 포스팅은 블로거 개인의 의견이며, 투자 권유나 조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책임이며, 본 글은 개인의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3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3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미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2월) →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102.9(예측 108.5) →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620.3만(44만), → 제조업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1.66% / S&P500 -1.85% / 나스닥 -2.05% / 러셀 2000 -2.81%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실버게이트 캐피탈(SI) 42%, SVB파이낸셜(SIVB) 60% 폭락! _23년3월10일
→ 3월 10일) 실버게이트 캐피탈(SI) 42%, SVB파이낸셜(SIVB) 60% 폭락! 미국 은행 섹터 전체가 폭락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은행 섹터의 폭락은 과거 리먼 브라더스 사태를 연상시키며 주식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시그니처 뱅크도 파산! 다음 파산 은행을 예상 해보자! _23년3월14일 (1) | 2023.03.14 |
---|---|
미국 주식 시황) 대형 은행은 괜찮을까? 시그니처뱅크,웨스턴얼라이언스,팩웨스트,퍼스트리퍼블릭뱅크 폭락! _23년3월11일 (2) | 2023.03.11 |
미국 주식 시황) 미 금리 인상보다 더 무서운 중국발 침체 위협! _23년3월9일 (1) | 2023.03.09 |
미국 주식 시황) 파월 의장 청문회 어제는 맛보기 오늘이 진짜다! _23년3월8일 (0) | 2023.03.08 |
미국 주식 시황) 데이터를 통한 파월 의장 청문회(8일~9일) 예상 _23년3월7일 (0)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