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5일 미국 주식 시황>
→ 2월 15일) 다시 오르는 달러 인덱스를 주목하자!
달러 인덱스가 100을깨고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다시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달러 움직임은 미국 시장의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나타나는 움직임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어제 말씀드렸던 것 처럼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다시 상승하려는 조짐이 보이기 때문에 달러 인덱스가 오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미국 경제가 좋다보니 소비자물가 지수가 오르는 것이고, 기준 금리를 더 높일 체력이되므로 달러 가치가 오르면서 달러 인덱스 또한 오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제 말씀 올린 것 처럼 이렇게 상승한 달러 인덱스는 반대로 미국의 수입물가를 낮추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되는 것 입니다.( 달러와 물가 관련 글 링크 )
채권과 마찬가지로 달러의 방향은 추세가 쉽게 변하지 않고 길고 느리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게다가 달러 인덱스의 움직임이 미국 주가와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고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달러 인덱스가 어디까지 상승할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지만, 달러 인덱스를 유심히 지켜보신다면, 분면 투자 판단에 도움이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2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1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107.1(예측 109)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0.6만(예측17.8만) →제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11% / S&P500 +0.28% / 나스닥 +0.92% / 러셀 2000 +1.09%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5년 월봉 차트 코로나 이후, 지수 변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달러 강세에 대비! 미국채 매입 기회는 온다? _23년2월16일
→ 2월 15일) 달러 강세에 대비! 미국채 매입 기회 어제 시장을 지켜보신 분들이라면, 미국 달러 인덱스가 급등하는 모습에 눈길이 가셨으리라 생각됩니다. 현재 상황을 정리하자면, [미국 소비자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최근 ETF 자금 흐름에 대해서! _23년2월16일
→ 2월 14일) 워렌 버핏도 TSMC 반도체 주식 매도! 22년 3분기 버크셔 해서웨이에 워렌 버핏 CEO는 반도체 섹터 중 TSMC를 선택하여 매수하였었습니다. 가치 투자자의 대가이며, 성장주를 좋아하지 않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갑작스러운 추세 전환에 주의하자! _23년2월18일 (0) | 2023.02.19 |
---|---|
미국 주식 시황) 주가 급락? 결국 왝 더 독(wag the dog) 현상 _23년2월17일 (1) | 2023.02.17 |
미국 주식 시황) 달러 지수를 통해보는 CPI의 심각성 _23년2월15일 (0) | 2023.02.15 |
미국 주식 시황) 소비자물가 지수(CPI) 미리 예상하는 방법! _23년2월14일 (0) | 2023.02.14 |
미국 주식 시황)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속였다!? 꼭 보세요! _23년2월11일 (0) | 2023.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