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정보/뉴스 리뷰

FOMC회의 종료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에도 불구하고, 가상화폐시장은 매도 우세_22년1월27일

by O.A. Balmy 2022. 1. 27.
반응형

22년 1월 FOMC 종료

해외 암호화폐 전문 뉴스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미 연방 공개시장 위원회(FOMC)를 거친 연방 준비제도 이사회(FRB)는 한국 시간 새벽 4시경, 정책 금리를 「곧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는 성명을 발표. 그 후 파월 FRB 의장의 기자 회견이 행해졌다.

FOMC 통과에 따른 거침없는 기대감 등으로 미국 주식시장, 암호화폐 시장 모두 반등했지만 기자회견 질의응답을 거치면서 금리인상 횟수와 금리인상폭에 대한 불확실성이 부각됐다. 실낱같은 기대를 안고 있던 시장을 실망시켰다고도 표현할 수 있을 듯하다.

파월 의장은 약 40년만에 고공행진을 하는 CPI(미 소비자물가지수) 등을 염두에 두고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압력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강조했다. FOMC 회의별 금리 인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FRB는 차기 FOMC 개최의 3월 초순까지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을 끝낸 후, 금리를 인상할 방침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인 감염 확대에 수반해, 경제 하부를 위한 이례의 금융완화책이 도입된 지 벌써 2년 가까이가 경과했다. 관제 시세의 영향으로 급등해 온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시장 등 위험 자산은 중대한 기로에 섰다.

과잉 유동성을 낳은 양적완화의 축소를 후, 금리 상승은 기업의 장래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가 크게 저하하게 되므로, 금융 긴축 국면에서는 비교적 고공행진을 의식하기 쉬운 그로스 섹터를 중심으로 매도가 선행하는 경향에 있다.

또 요즈음은, 우크라이나 정세를 둘러싸고, 러시아와 구미의 대립이 첨예화.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것도 시장심리를 어둡게 하고 있다.

 

 

 

아서 헤이스의 진단

대기업 파생상품 파생상품 거래소 비트엠엑스의 아서 헤이스 전 CEO는 25일, 「Bottom less(무저)」의 타이틀로 금융시장의 분석 기사를 게재.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지구상에서 마지막"자유 시장"이 될 수 있다」라고 평가한 후, 지위 악화의 영향으로 작년의 최저가인 1BTC=28,500달러, 1ETH=1,700달러가 리테스트 될 때까지는, 「저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지적.

이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비트코인(BTC)은 20,000~28,500달러, 이더리움(ETH)은 1,300~1,700달러까지 대규모 로스카트(청산)를 동반한 오버슛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종을 울렸다.

20,000달러는 가상화폐 버블이 한창이던 2017년 12월 BTC의 최고치이며, 1,300달러는 같은 시기(2018년 1월) ETH의 최고치다.

아서·헤이즈씨는 BTC 가격이 1만달러 전후를 추이하고 있던 19년 9월, QE4(양적 완화)의 가능성을 지적.당시의 최고치 1 BTC=20,000달러의 재래를 예언하했었다.

 

 

 

비트코인 시황

비트코인 가격은 대폭 하락 후 적정가격과 FOMC에서 완화적 제스쳐를 취할 것 이라는 기대감 등으로 32,933달러에서 38,960달러까지 반등했으나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 따라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날보다 1.69%인 36,000달러 까지 하락했다.

파생상품시장에서는 주초까지 8억5400만달러 이상 청산됐지만 과거 시세와 비교할 때 로스컷된 물량이 부족하다며 시세 급변동 및 플래시 크래시(급락)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2021년 5월은, 눈사태식으로 로스컷이 발생해 폭락. 시장 전체에서 48억달러 상당이 청산되었다. 특히 바이낸스 선물시장에서는 여전히 지난해 5월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걱정이다.

 

토큰 가격 하락이 뚜렷해지면서 Curve, Aave, Maker 등 주요 DeFi 프로토콜에서도 청산이 확인되고 있다. 예금 총액을 나타내는 Total Value Locked(TVL)는 2,370억달러에서 약 2,000억달러까지 줄었다.

블룸버그의 인터뷰에 응답한 데이터 트래커 Dapp Radar의 시니어 데이터 애널리스트 Pedro Herrera씨는 약세 시장이 장기화될 경우 DeFi의 겨울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직 성장중인 업계이기 때문에, 특히 감사가 불충분한 프로토콜에서는 미비한 해킹 피해나 출구 사기에 의한 러플등도 발생한다. 강세 트렌드에서는 리스크를 능가하는 리턴 기대로 자금 유입이 잇따랐지만, 약세 트렌드에서는 마이너스 순환에 빠지기 쉽다는 지적이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