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정보/뉴스 리뷰

남아공, 가상화폐 시장 단계적 규제 도입 계획_21년6월12일

by O.A. Balmy 2021. 6. 13.
반응형

남아프리카공화국 핀테크 실무그룹 정책 방침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암호화폐 시장 규제를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갔다.

6월 11일, 복수의 금융규제 당국으로 구성된 정부간 핀테크작업부회(IFWG=Intergovernmental Fintech Working Group)는 정책방침 설명서에서 가상화폐와 그 관련활동에 관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정책 스탠스를 재검토하기 위한 25개의 제언을 발표했다.가상화폐를 "단계적이고 구조적인 접근방식"으로 규제대상으로 하기 위해 가상화폐 서비스사업자(CASP)를 통한 규제 도입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Moneyweb 등의 보도에 따르면 1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으로 하루 가상화폐 거래액이 20억란트(약 160억엔)를 넘어섰다.이는 규제당국의 손이 미치지 않은 시장에서의 거래에 의한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동국에서는 2020년말, 봇을 사용한 비트코인(BTC) 거래로 고수익을 구가한 국내 최대의 폰지스킴이 파탄해, 명확한 암호화폐 규제의 필요성이 재촉되고 있었다.

 

 

주요한 규제 방침


IFWG는 기본적인 규제 도입 방침으로서 다음의 3가지를 들고 있다.

1. 돈세탁 방지와 테러자금대책(AML/CFT)을 위한 틀

금융정보센터(FIC) 등록
고객 확인 실시
고객과 거래 정보의 기록 보유
부정행위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보고 의무
25,000 남아프리카 공화국(약 20만엔) 이상의 현금 거래 보고
테러활동 및 테러조직 관련 가능성 자산 보고
2. 국제송금흐름을 감시하기 위한 틀

남아공 준비은행 금융감독국이 자금 흐름을 감독하고 규제를 책임진다.

이 경우에는 재무성이 외환관리규칙을 개정하여 "자본"의 정의에 암호화폐를 포함시킬 필요성이 생긴다.

3.금융섹터의 법률을 적용

잠정조치로 가상화폐를 금융상품으로 간주함으로써 가상화폐 서비스 사업자가 금융섹터행위감독기구(FSCA)의 감독 아래 라이선스를 취득한 중개업자가 된다.

중기적으로는 금융섹터규제법에 암호화폐 서비스 사업자를 포함할 것이 권장된다.

가상 화폐를 승인하는 것은 아니다
IFWG의 정책 방침 설명서는 49 페이지에 달해, 구체적인 규제 지침을 나타내고 있어 최종적으로는, 개개의 금융 섹터의 규제 당국에 대해서, 기재된 권장 사항을 실시하는 명령서로서의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 된다고 한다.

그 한편, 암호화폐의 규제 환경 정비는 「암묵적, 명시적으로 관계없이, 암호화폐를 승인하고 있다고 해석해서는 안된다」라고, IFWG는 재차 주의를 환기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강한 관심과 시장 참여가 현실로 다가온 가운데 소비자 보호의 필요성에 따라 암호화폐 서비스 사업자를 규제 대상으로 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IFWG는 설명했다.이와 함께 암호화폐와 관련한 활동 상황 파악과 감시의 필요성, 그리고 금융활동그룹(FATF)과 바젤은행감독위원회 등 국제기구 요건 충족 목적 등도 규제의 틀을 구축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IFWG는 "가상화폐 그 자체"를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규제하는 것으로, "책임 있는 이노베이션(innovation)를 촉진하는 것"으로 연결된다고, 그 목적을 강조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