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주식 시황

미국 주식 시황) 16일은 네 마녀의 날, 전 날부터 변동성 키우는 시장 _22년12월16일

by O.A. Balmy 2022. 12. 16.
반응형

<12월 15일 미국 주식 시황>

→ 12월 14일) FOMC 시장 예상과 동일, 장기적 관점 변화는 크지 않다.

→ 한국 시간으로 15일 새벽 4시 미국 기준 금리 50bp인상하여 4.5% 도달

→ FOMC 기자 회견 내용

사실상 이번 FOMC는 이미 시장이 예상했던 것과 크게 다를게 없는 내용이였습니다. 시장의 예측처럼 50bp 금리 인상을 하였으며, 점도표상에서 미국에 최종 기준 금리가 5% 이상이였습니다. 따라서 시장 예상과 동일했기 때문에 이번 FOMC로 인해 주가가 더 크게 하락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은 23년도에 대한 연준의 최종 기준 금리 예상은 지난 FOMC와 비교해서 크게 변했지만 24년도에 대한 예상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FOMC 9월에서 12월로 오면서 달라진 점은 아래와 같은데요.

2022년 최종 기준 금리 예상은 4.4→4.4로 동일

2023년 최종 기준 금리 예상이 4.6→5.1로 0.5%상향

2024년 최종 기준 금리 예상은 3.9→4.1로 0.2%만 상향

 

시장에서 연준이 현재 말로만 협박한다고 생각하는 것도 2023년에 최종 금리를 높게 잡았을 뿐 2024년에 최종 금리 상향 정도가 크지 않다는 것에 근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12월 15일) 16일은 FOMC가 끝난 후, 바로 맞이하는 네 마녀의 날

12월 16일은 미국 선물과 옵션 만기일이 겹치는 네마녀의 날입니다. 이 날은 변동성이 매우 커지는 날인데요. 개인적으로 매일 시장을 체크하면서 느끼는게 막상 네 마녀의 날 당일보다 그 전날 변동성이 크다는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15일은 네 마녀의 날 전에 변동성이 커졌던 시장으로 봐야할 것 같으며, 오히려 오늘 장마감 까지 주의 깊게 살핀 후, 향후 추세를 가늠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2년 1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2월 1일)10월 미국 노동부 JOLTs 보고서, 원유재고, 파월 의장 연설,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10월 미국 노동부 JOLTs보고서 1033.4만 건(예측

hamond.tistory.com

 

경제 뉴스 종합) 22년 12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및 의견 종합

1. 11월 23일)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 도입 → 11월 23일 G7과 유럽 연합에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액을 정한다고 합니다. 가격을 65~70달러 선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는 이미 유럽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2.25% / S&P500 -2.49% / 나스닥 -3.23% / 러셀 2000 -2.70%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글로벌 경제 위기, 미국과 다른 국가 사이에 차이점 _22년12월16일

→ 12월 14일) 시장이 예상했던 그대로 큰 이변이 없었던 FOMC → FOMC 기자 회견 내용 사실상 이번 FOMC는 이미 시장이 예상했던 것과 크게 다를게 없는 내용이였습니다. 시장의 예측처럼 50bp 금리 인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TSLA) 36억 달러 매도!!! _22년12월15일

→ 12월 13일) 머스크, 트위터(TWTR) 사무실 임대료를 몇 주째 지불하지 않은 이유 테슬라의 주가 하락의 원인은 역시 트위터(TWTR)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2월 13일 긍정적인 소비자물가 지수가 발표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온고지신! 미국 2014~2018년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긴축 시기! 나스닥지수 움직임은 어땠을까? 정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 긴축에 대한 나스닥 지수 움직임 2014년 테이퍼링 시작 시기 과거 2013년 5월 연준은 테이퍼링에 대해서 언급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제 시행은 2014년 1월이었습니다. 2014년 1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