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 11월 29일) 최근 중국 기업에 대한 상반된 의견 정리
중국 보건 당국이 최근 노인 대상에 백신 접종률이 올랐다고 보고했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미국에 상장된 대부분의 중국 기업(징둥 닷컴, 바이두, 알리바바 등)들이 갭상을하며, 5% 정도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반대로, 애플(APPL)은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로 인해 아이폰 생산력이 감소하였으며, 실제로 아이폰 주문시 실제로 제품을 받아보기 까지 기간이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나면서 주가가 2%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렇듯 최근 중국에 대한 투자 관점이 굉장히 상반된 것이 보이는데요. 올해 초, 코로나19 봉쇄 조치로 인해 봉쇄 당한 상황에서도 가동했던 애플의 폭스콘 공장의 현 상황이 이러할진데 한편에서는 코로나19 봉쇄 완화 기대감으로 주가가 오른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중국은 코로나19 재확산 문제 외에도, 더 큰 문제는 부동산 건설사 파산 위기라는 것과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에 대한 미국 회계 감사원에 회계 자료 제출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에 상승추세로의 전환 여부에 대해서는 좀 더 고민해보고 투자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 11월 30일) 파월 연설 이후 모든 섹터 일제히 급등
파월 연설 이후 모든 섹터가 일제히 급등하였습니다. 최근 많이 하락했던 기술주와 성장주 또한 급등하였는데요. 파월이 연설에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언급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열기가 조금은 불편하게 느껴지는데요.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언급했지만, 여전히 최종 기준 금리는 9월 예상치 4.6%보다 더 높게 설정해야하며, 현재와 같은 제약적인 금리 정책을 유지해야한다고도 함께 밝혔기 때문입니다.
또한 많은 미국 기업들이 현재 금리 상태에서 잘 견뎌주고 있지만, 미국과는 다르게 유럽, 중국 등 다른 국가들이 오히려 경기 침체가 가시화된 상황이다보니 이러한 글로벌 경기 침체가 향후 미국 기업들 실적에 악영향을 줄 것은 명백하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개인적으로 지금은 단기적인 시각보다는 조금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시는 것이 필요하며, 만약 주식을 모아가신다면 꼭 분산 투자를 통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12월 3일) 원유 공급 악화와 태양광 기업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 시행 및 OPEC+의 원유 생산량 유지로 인해 원유 공급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최근 대체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 상승세가 무섭습니다.
인페이즈 에너지(ENPH) : 가정에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을 제작하는 기업으로 최근 유럽이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해 대체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인페이즈 에너지의 주가 또한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투자해서 소소한 이득을 보았던 기업인데요.
당시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전쟁이 금방 끝날 것 같다는 마음에 적당한 가격에 매도하고 나왔지만, 재 생각보다 상황이 길어지면서 주가가 천정부지로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12월 2일 인페이즈 에너지에서 프랑스와 네덜란드에 마이크로인버터가 출시되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태양광으로 얻은 전기를 가정용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게 인버터이며, 프랑스와 네덜란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프랑스와 네덜란드 시장으로 사업이 확장되고 있다보니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솔라엣지(SEDG) : 인페이즈 에너지가 태양광 설치부터 활용 그리고 실제 소비자에게까지 연결되는 사업을 하는 것에 비해 솔라엣지는 아직 인페이즈 에너지에 비해 세일즈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인페이즈 에너지는 미국 기업이며, 솔라엣지는 이스라엘 기업이죠. 최근 중국 태양광 제조업체들이 관세 회피문제로 미국의 제재를 받게되자 두 기업 모두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Department of Commerce Issues Preliminary Determination of Circumvention Inquiries of Solar Cells and Modules Produced in China
Today,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announced its preliminary determinations in the circumvention inquiries of solar cells and modules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www.commerce.gov
경제 지표 발표 일정과 뉴스 종합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2년 1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2월 1일)10월 미국 노동부 JOLTs 보고서, 원유재고, 파월 의장 연설,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10월 미국 노동부 JOLTs보고서 1033.4만 건(예측
hamond.tistory.com
경제 뉴스 종합) 22년 12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및 의견 종합
1. 11월 23일)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 도입 → 11월 23일 G7과 유럽 연합에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액을 정한다고 합니다. 가격을 65~70달러 선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는 이미 유럽
hamond.tistory.com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 개별 기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보기 좋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와 OPEC+ 회의 _22년12월3일
→ 12월 1일)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하락세 12월1일 10시30분에 발표된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가 발표되었는데요.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나면서 인플레이션이 정점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유가 상승 압력과 경기 침체 우려 그리고 채권 _22년12월3일
→ 12월 1일) 파월 연설 후 채권과 주식 동반 상승 코로나19 이후 채권과 주식 시장이 함께 상승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유동성의 증가를 언급하고
hamond.tistory.com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2년 1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2월 1일)10월 미국 노동부 JOLTs 보고서, 원유재고, 파월 의장 연설,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10월 미국 노동부 JOLTs보고서 1033.4만 건(예측
hamond.tistory.com
경제 뉴스 종합) 22년 12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및 의견 종합
1. 11월 23일)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 도입 → 11월 23일 G7과 유럽 연합에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액을 정한다고 합니다. 가격을 65~70달러 선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는 이미 유럽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기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기업 뉴스) 중국 코로나19봉쇄 최대 수혜자 화이자(PFE) _22년12월7일 (0) | 2022.12.07 |
---|---|
미국 기업 뉴스) 테슬라(TSLA) 주가 급락 그 이유는 중국 수요 감소? _22년12월6일 (0) | 2022.12.06 |
미국 기업 뉴스) 글로벌 경기 침체는 기업 이익에 부담이 된다. _22년12월2일 (0) | 2022.12.02 |
미국 기업 뉴스) 파월 연설 이후, 성장주가 다시 달릴까? _22년12월1일 (0) | 2022.12.01 |
미국 기업 뉴스) 중국 관련 애플(APPL), 징동 닷컴(JD) 엇갈리는 주가 _22년11월30일 (1) | 2022.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