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주식 공부

매수의 방법 3가지 경우 _ 개인적인 공부 요약

by O.A. Balmy 2021. 7. 5.
반응형

 매수의 3원칙

매수의 3원칙이라기보다는 3가지 상황에서 매수 타이밍을 찾아내는 방법

- 5일과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3가지 상황을 구분

 


첫 번째 상황) 5분봉 차트 (빨간선: 5일 이동평균선, 파랑선: 20일 이동평균선)

첫 번째 상황 (5일 이동평균선 위로 종가가 만들어지는 상황)

강한 상승 추세로 5일 이동평균선 위로 종가가 만들어지는 상황에서 매수 타이밍을 보는 법.

5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는 주식을 매수하는 것은, 내가 매수하려는 날이 상투일 수도 있으므로, 상투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하루 중에 분봉 차트를 계속 살펴서 매수 타이밍을 봐야 함.

 

- 장 시작 후, 1시간 동안 차트 추세를 보았을 때,

  • 거래량 증가를 동반한 양봉이 발생하며, 시초가를 넘는 경우 -> 매수 ( 다음날 추가로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 그 외의 모든 경우(거래량↑시초가 못 넘음, 거래량↓시초가 못 넘음, 거래량↓시초가 넘음) -> 관망하며, 장 종료 1시간 전, 차트 추세를 살펴야 함.

- 장 종료 1시간 전, 차트 추세를 보았을 때,

  • 거래량 증가를 동반한 양봉이 발생하며, 시초가를 넘는 경우 -> 매수 ( 다음날 추가로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 그 외의 모든 경우 -> 이 주식은 하락 추세 혹은 단기 조정이 예상되므로 매수하지 않음.

 

 


두 번째 상황) 일 봉 차트 (빨간선: 5일 이동평균선, 파랑선: 20일 이동평균선)

두 번째 상황 (5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 사이에 종가가 만들어지는 상황)

보통 상승 추세에 있는 주식이 약간 하락했을 때, 이것이 조정인지, 아니면, 완전히 하락으로 전환되는 것인지 구분하는 법. (주식이 눌림목에 있는 구간)

  • 음봉이 형성되었지만 거래량이 급격히 감소 -> 단순 조정으로 이후, 상승 판단
  • 음봉이 형성되면서 거래량도 많음 -> 하락 추세로 전환되는 것으로 판단. -> 매수하지 않음.

 

단순 조정으로 판단되었을 때, 매수 타이밍

  •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양봉을 형성할 때, -> 매수

(다시 상승하는 당일엔 장 초반부터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가 많음.)

(양봉이 전일 음봉에 시가+종가/2 보다 높은 종가를 형성하면 더 확실함.)

 

 

 


세 번째 상황) 일 봉 차트 (빨간선: 5일 이동평균선, 파랑선: 20일 이동평균선)

세 번째 상황 (2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종가가 만들어지는 상황)

장기간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주식 차트의 경우, 종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형성됨. 반등 신호 파악하는 방법.

핵심은 거래량에 있긴 한데, 두 번째 상황과는 다른 점은 한번 거래량이 터지면서 양봉 형성 후, 기다렸다가 한번 더, 거래량 터지면서 양봉을 형성하는지를 살핀 후, 매수하는 것.

 

- 장기간 하락했던 주식은 거래량 터지면서 양봉을 형성하면, 장기간 쌓여있던 매도 매물로 인해 다시 한차례 하락할 수 있음. 따라서, 며칠 더 기다렸다가 매도 매물이 소진된 후, 거래량이 터지는 양봉이 형성될 때, -> 매수

* 세 번째 상황의 경우 우리가 흔히 부르는 이중바닥 패턴(W형 패턴)으로 볼 수 있음.

 

 


https://hestiamall.kr/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