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기업 뉴스

미국 기업 뉴스) 다음 파산 위기는 챨스 슈왑(SCHW)인가? 하락하는 주가! _23년3월31일

by O.A. Balmy 2023. 3. 31.
반응형

<3월 30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 3월 30일) 다음 타자는 챨스 슈왑(SCHW)인가? 하락하는 주가!

최근 주식 시장에 가장 큰 이슈는 챨스 슈왑(SCHW)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최근 챨스 슈왑의 계좌에 돈을 넣어두는 경우보다 머니 마켓 펀드나 좀 더 이자를 주는 곳으로 돈을 이동하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유동성이 감소하고 수익률이 낮아질 것이라는 점과 챨스 슈왑이 저금리 기간에 장기 채권에 많은 투자를 했기 때문에 현재 고금리 상황에서 손실을 보고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챨스 슈왑 문제 외신

 

Morgan Stanley Downgrades Charles Schwab for First Time, Slashes Target

(Bloomberg) -- Charles Schwab Corp.’s clients are pulling cash out of the firm’s low-interest-rate bank accounts at twice the rate that Morgan Stanley expected, prompting the firm’s analyst to yank his buy-equivalent rating on Schwab for the first ti

finance.yahoo.com

 

이를 반영하듯 주가는 이미 30%이상 하락한 상황인데요. 미 정부에 지원으로 다른 은행들이 회복하고있는 것과는 다르게 챨스 슈왑(SCHW)은 여전히 최저점을 향해 하락하고있습니다.

챨스 슈왑(SCHW)상황에 대해 자세히 정리한 외신 기사 링크

 

Morgan Stanley Analyst Downgrades Schwab Over Client Cash Concerns

Analysts have been reassessing Charles Schwab because of the impact of interest rates and uncertainty as to when relief might arrive.

www.barrons.com

 

 

연준에서 유동성을 공급하면 해결될일?

최근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중소형 은행들의 뱅크런을 막고자 연준이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BTFP)"을 시행하고있는데요. 이로 인해 은행들에 연쇄 파산을 사전에 차단하고, 시장이 안정되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나고있습니다.

은행이 파산하는데 나스닥과 코인이 급등하는 이유!

은행 파산에도 주가가 계속 상승하다보니, 많은 투자자들이 악재에 둔감해하는 모습을 보이는데요. 챨스 슈왑의 파산은 앞서 실리콘 밸리 뱅크(SVB)나 시그니처 뱅크(SBNY)와는 완전히 다른 차원에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챨스 슈왑의 경우 3400만 명의 고객 계정과 자그마치 7조 4000억 달러의 고객 자산을 보유하고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파산한다면 어떻게 될까?

챨스 슈왑은 규모가 너무 큽니다. 챨스 슈왑은 채권이나 증권 외에 예금 보유액만 3,670억 달러를 보유한 기업인데요. 만약 이 기업이 파산한다면, 미 재무부나 연준이 앞서 SVB나 SBNY 파산처럼 쉽게 막을 수 가 없습니다.

 

최근 미 연준이 은행 파산을 막기 위해 FDIC나 Discount Window, BTFP에 사용한 돈이 이미 3000억 달러를 넘으며 이는 22년 1년 내내 양적 긴축을 통해 확보한 6000억에 반이나되는 큰 금액입니다.

만약 챨스 슈왑(SCHW)이 파산한다면, 옐런 재무부 장관이 3월 23일에 의회에서 발언했던 것 처럼, 쉽게 예금자 보호를 말하며, 시장을 안심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 이상 미 연준이 대차대조표를 확대한다면, 현재 고 금리 상황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올 것이 확실시되는 시점에서 다시금 양적 완화를 통해 경제를 부양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챨스 슈왑의 파산 이슈는 지속적인 체크가 필요한 큰 이슈입니다. 뉴스도 좋지만, 따로 즐겨찾기 목록에 등록하여 주가 움직임을 체크해보는게 필요한데요. 특히 3월 13일 저점 밑으로 주가가 하락하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당 포스팅은 블로거 개인의 의견이며, 투자 권유나 조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책임이며, 본 글은 개인의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3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3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미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2월) →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102.9(예측 108.5) →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620.3만(44만), → 제조업

hamond.tistory.com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 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3월 23일~3월 29일 ETF 자금 흐름>

<3월 29일 자산군에 따른 자금 흐름>

 

 

미국 개별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 보기 좋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