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기업 뉴스

미국 기업 뉴스) 나이키(NKE) 실적 발표! 어닝 비트했니 주가가 무조건 오른다!? _23년3월22일

by O.A. Balmy 2023. 3. 22.
반응형

<3월 22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 3월 22일) 나이키(NKE) 실적 발표 결과 현실 매도 국면 진입

나이키가 한국 시간으로 3월 22일 오전 중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실적은 예상치를 모두 윗도는 어닝 비트를 달성했는데요. 어닝 발표 전인 장중에는 3%넘게 상승하던 주가가 어닝 발표 이후, 애프터장에서 급락하여 상승폭을 모두 반납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실적 발표 후, 131.81까지 치솟았다가 122.65까지 급락하는 모습

 

이러한 모습은 나이키가 어닝을 비트했음에도 나타났기에 상당히 혼란스러운면이 있습니다. 심지어 어닝 발표 직후에는 6%나 급등했었으나 바로 모든 상승분을 반납했기 때문입니다.

Q1 2023은 EPS 0.79(예측 0.55) 매출은 124억 달러(예측 114.7억 달러)로 어닝을 비트하였습니다.

 

나이키의 EPS는 21년 9월 23일을 기점으로 계속 하락하고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매출 상승은 물가 상승을 가격에 반영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현 시점에서는 순이익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어닝을 비트했다고 주가가 오를까?

전년 같은 분기인 Q1 2022은 EPS는 0.9(예측 0.76) 매출은 103.6억 달러(예측 110억 달러)이였습니다. 즉 현재 어닝인 EPS 0.79에 매출 124억 달러는 EPS만 놓고 보면 순 이익이 전년대비해서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 입니다.

 

따라서, 실적이 예측치를 상회했다고 하더라도 순수익이 감소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예측치를 웃도는 어닝을 발표했다고 하더라도 주가는 하락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볼 수 있는 것이죠.

 

 

다른 주식들도 마찬가지인 상황!

현재 미국에 상장된 대부분의 기업들이 실질적인 실적 하락으로 인한 주가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계속된 유동성 장세로 인해 EPS와 매출이 상승하는게 당연한 것 처럼 느껴졌고 주가는 이를 반영해서 상승하였으니까요.

Q1실적 2019년이 eps 0.68 / 2020년이 0.53 / 2021년이 0.9 / 2022년이 0.87 / 현재 2023년이 0.79

※위 나이키 월봉 차트와 실제 나이키 EPS의 등락이 비슷하게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현재는 양적긴축(QT)와 고금리로 인해 상황은 더 안좋습니다.

 

그렇다면, 실적이 계속 상승하는 기업을 선택하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문제는 실적이 상승하는 기업이란 성장주를 의미하며, 이러한 성장주는 고금리 상황에 취약하기 때문에, 주가 상단이 막혀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현재 나이키와 같은 소비재 기업의 실적 하락이 가시화되기 시작했으므로, 이러한 실적 하락이 주가에 반영되지 않은 기업들의 경우 주가 반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대로 새로운 혁신 4차 산업 기반에 기업들은 실적은 상승하나 상승폭이 제한되고 고금리 상황으로 인해 주가 상승에 제한됩니다.

 

 

결론적으로,

최근 올해들어 주가가 계속 상승해왔던 상황에서 많은 투자자분들이 리스크를 짊어지는 것에 둔감해진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금 부터 시작되는 23년 1분기 실적 시즌이 주가에 대한 현실 매도가 발생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만큼 투자자 여러분들 모두 현재 자신이 투자한 주식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한번쯤 점검하시면 좋겠습니다.

 

특히 향후, 나이키(NKE)에 주가 움직임을 살피면 1분기 실적 시즌 분위기에 이정표가 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 여러분들께서도 관심있게 지켜보시면 좋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블로거 개인의 의견이며, 투자 권유나 조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책임이며, 본 글은 개인의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3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3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미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2월) → CB소비자 신뢰지수 (2월) 102.9(예측 108.5) →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620.3만(44만), → 제조업

hamond.tistory.com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 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3월 14일~3월 20일 ETF 자금 흐름>

 

<3월 20일 자산군에 따른 자금 흐름>

 

 

미국 개별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 보기 좋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FOMC 하루 전,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 봐야할 지표 4가지! _23년3월20일

→ 3월 20일) FOMC 하루 전,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 봐야할 지표는? 미국 기준 금리 인상을 하루 앞둔 오늘 시장은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미 연준에 비공식 대변인으로 불리우는 닉 티미라오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크레디트 스위스(CS) 조건부자본 증권 모두 종이 조각! _23년3월20일

→ 3월 20일) 크레디트 스위스(CS) 조건부자본 증권 모두 종이 조각! 크레디트 스위스가 UBS에 헐값에 인수되었다는 사실은 모두가 알고 계실 것 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CS주주들의 경우 주식을 U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