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2일 미국 주식 시황>
→ 2월 21일) 미국 S&P Global PMI와 높은 기준 금리
미국의 S&P 글로벌 PMI가 50.2를 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PMI가 50을 넘기는 경우 경기가 확장 국면임을 의미하므로, 미국 경제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세부항목을 보면, 서비스 PMI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제조업 PMI는 여전히 위축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 February flash #PMI reading for the #US private sector signalled a broad stablisation, as the PMI rose to an eight-month high of 50.2. Growth was confined to the service sector, while the downturn in output across goods producers continued. Read more: https://t.co/KQkDXTydwm pic.twitter.com/Wfzw2nGgS8
— S&P Global PMI™ (@SPGlobalPMI) February 21, 2023
사실상 서비스 PMI의 경우 유동적이며, 안정적인 성장은 제조업 PMI의 성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현재 미국 경제가 좋긴 하지만, 뿌리가 부실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즉 높은 서비스PMI가 임금 상승을 압박하여, 임금이 오르면, 물가 또한 상승하게되는데요. 반면 제조업은 여전히 위축 국면이기 때문에 향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상승에 한계가 나타나게된다면 경제가 충격을 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당장 주식 시장에서는 높은 S&P Global PMI를 통해 임금 상승 압박이 여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미국이 높은 기준 금리를 유지해야하며, 유지할 수 있다는 명분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분기 실적 시즌도 이제 곧 마감되는 만큼 최근 급히 상승한 주가를 유지했던, 연준의 연내 피봇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꺾여가는 것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 2월 21일) 내일 개인소비지출물가(PCE)를 미리 예상해보자!
내일은 미국의 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PCE)가 발표되는 날입니다. 이를 통해서 실제 소비자가 느끼는 인플레이션 정도를 알 수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2월에 발표된 CPI와 소매판매가 예측치와 같거나 높았던 점을 생각해보면, PCE 또한 높게 나올 확률이 더 높습니다.
2월에 발표를 살펴보면,
→ YoY 1월 소비자물가 지수 6.4%(예측 6.2%), 근원 소비자물가 지수 5.6%(예측 5.5%)
→ MoM 1월 소비자물가 지수 0.5%(예측 0.5%), 근원 소비자물가 지수 0.4%(예측 0.4%)
→ MoM 1월 실질임금 0.7% (전월 0.1%)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YoY기준 전년 1월 대비 모두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MoM 근원 소매 판매 2.3%(예측 0.8%), 소매판매 3%(예측 1.8%)
→ YoY 소매판매 6.38%(전년 5.89%)
※소매판매는 상당히 높습니다.
이렇듯 앞서 지표를 바탕으로 투자에 참고하면 도움이되실 것 같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2월 1일) CB소비자 신뢰지수 (1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107.1(예측 109)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0.6만(예측17.8만) →제
hamon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26% / S&P500 -0.16% / 나스닥 +0.13% / 러셀 2000 +0.18%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FOMC의사록 발표! 금리 인상 지속 _23년2월23일
→ 2월 21일) 고금리 지속, 기업 실적은 감소하는 상황 미국의 S&P 글로벌 PMI가 50.2를 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PMI가 50을 넘기는 경우 경기가 확장 국면임을 의미하므로, 미국 경제가 좋다는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엔비디아(NVDA) 어닝 비트! 애프터 마켓 주가 급등! _23년2월23일
→ 2월 22일) 엔비디아(NVDA) 어닝 비트! 애프터 마켓 주가 급등! 엔비디아(NVDA)가 미국 정규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2월 23일 아침) 주당 순이익은 0.88(예측 0.81), 매출은 6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국 주식 시황) 최악에 개인 소비지출 물가 지수(PCE) 발표 _23년2월25일 (0) | 2023.02.26 |
|---|---|
| 미국 주식 시황) 작년 10월이 바닥? 어제 발표된 GDP를 보니 불안하다. _23년2월24일 (0) | 2023.02.24 |
| 미국 주식 시황) 미국 S&P Global PMI와 높은 기준 금리 _23년2월22일 (0) | 2023.02.22 |
| 미국 주식 시황) 갑작스러운 추세 전환에 주의하자! _23년2월18일 (0) | 2023.02.19 |
| 미국 주식 시황) 주가 급락? 결국 왝 더 독(wag the dog) 현상 _23년2월17일 (1)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