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1일 미국 채권 시황>
→ 1월 24일) 미국 2월 금리인상 중단 논의?
정확히는 미국 Fed에서 2월 FOMC에 기준 금리를 0.25%올릴 것이며, 아마도 향후 추가로 금리 인상을 할 것인지 아니면 중단할 것인지를 의제로 논의할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WSJ '2월 FOMC서 금리인상 중단 논의'…연준, 올봄 '스텝' 멈추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포인트로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동시에 ...
www.sedaily.com
이와 관련해서는 이미 1월 22일에 Fed에 비공식 대변인으로 불리우는 닉 티미라오스 기자가 트윗으로 WSJ기사를 발표했었는데요. 이러한 기대감이 최근 주식 시장에 상승 동력이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Fed officials are preparing to slow interest-rate increases for the second straight meeting.
— Nick Timiraos (@NickTimiraos) January 22, 2023
They could begin deliberating how much more softening in labor demand, spending and inflation they would need to see before pausing rate rises this spring. https://t.co/I2baGj3aGT
채권 시장에서는 기준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거나 심지어 멈춘다는 것은 이미 시장에 반영된 명백한 팩터이기 때문에 이러한 기사로 인해 움직인다기보다는 앞서 말씀드렸던 것 처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더 깊다고 볼 수 있는데요. 특히나 일본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3대 국채 위기 다가온다"…연준은 준비됐을까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 글로벌 국가 부채 위기가 오는 여름 발생할 것이란 경고가 제기됐다. 동시에 미국 중앙은행은 이에 대해 제대로 된 준비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됐다.미국
news.einfomax.co.kr
거짓말이 중앙은행 미덕? 구로다에만 인색한 이유는[김보겸의 일본in]
중앙은행 총재의 미덕은 거짓말이라고들 한다. 헨리 키신저 미국 전 국무장관이 외교 기밀을 누설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쓴 ‘건설적인 모호함(constructive ambiguity)’은 중앙은행에서도 여러 번 사
www.edaily.co.kr
→ 1월 24일) 치솟는 금값 채권 시장에 미치는 영향
금과 장기채권 모두 22년 10월 저점을 형성한 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과 장기채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므로, 현재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걱정이 시장에 팽배한 상황에서 상승하는 것은 당연해 보이는데요.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최근 일반적으로 역의 상관관계인 주식 시장 또한 함께 상승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개인적으로 채권 투자자에 입장에서도 금의 강세는 달러의 약세를 의미하므로 한국에서 미국채를 투자하는 경우 환차손에 대한 고민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도, 금의 상승이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 심리라면, 미국채 투자에는 긍정적인 신호로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 1월 31일) 미 기준금리 인상 하루 전, 채권 시장 방응
미국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회의 결과가 한국 시간으로 2월 2일 새벽 4시에 발표됩니다. 채권 시장 회의 결과를 기다리며 변동폭이 줄어드는 모습이 나타났는데요. 이후 움직임은 회의 결과와 파월 연설 후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현 시점에서 기준 금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단기채 금리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으면서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완화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채권 시장 또한 연준이 기준 금리를 더 이상 크게 올릴 수 없다고 보고있는 것 입니다.
특히 주목해야하는 움직임은 3개월물 금리인데요. 꾸준히 우상향하던 3개월물 금리가 상승폭을 줄이고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이 예상대로 25bp 금리를 올린다면, 미국 기준 금리는 4.75%에 도달하는데요. 3개월물 금리 또한 그 구간에서 횡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월 5일) ISM 제조업고용지수 (12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12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
hamond.tistory.com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1.9% 예상되므로 유 사치까지 상승
장기 금리(10년 물) : 기준 금리보다는 향후 경제 전망에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 상승
※ 10년물 금리와 2년 물 금리가 함께 상승하는 것이 좋음(※3개월 금리는 예외)
▷장기 금리가 상승해야 장단기 금리차가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10년 물 금리- 2년물 금리)
→ 연준에서 양적 긴축 (QT)을 위해 10년물 채권을 매도하면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게 됨.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
-0.67%에서 0.02하락한 -0.69마감 (22년 4월 1일과 7월 6일 금리차 역전)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차
-1.21%에서 0.03상승한 -1.18%마감(22년 10월 19일 금리차 역전)
미국 10년물 / 2년물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10년물 국채 수익률 3.510 / 2년물 국채 수익률 4.2052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4.6930
국채 금리 = 국채 수익률은 채권 가격과 반비례합니다. 예를들어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는 것은 국채 수익률이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안전 자산인 채권 수요 증가]→[채권 수익률(국채 금리) 하락]입니다.
▷미국 채권 수익률 일봉 차트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4.24%에서 0.02상승한 4.26%마감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 에서 국채 수익률을 뺀 값으로, 이 값이 상승하면 시장이 위험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4% 이하로 하락해야 시장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이일드 채권은 BB등급 이하 채권으로 정크본드로 경기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국채 수익률의 하락은 채권 가격의 상승을 의미하므로,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시, 고 위험 자산인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는데요. 이는 경기침체 상황에서 각 기업의 상환 능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 미국내 기업들의 상황이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미국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다보니 생각보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미국 기업들의 매출 감소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더 크게 상승하면서 주가가 급히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FedWatch Tool
페드워치는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 정도를 보여줍니다. 미국 시장에서 발표되는 각종 지표들이 곧 바로 반영되면서 예상치가 변하기 때문에 시장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금리 결정을 기다리는 하루 _23년2월1일
→ 1월 25일) 미 주택 시장 하락, 코로나19 초기 수준 최근 한국도 부동산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경기가 얼어붙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미국도 주택 시장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입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AMD, 23년 차별화된 제품으로 장기 성장할 것 _23년2월1일
→ 1월 27일) 미국 인버스 ETF에 몰리는 자금 최근 미국 인버스 ETF에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아래 ETF 자산군 흐름을 살펴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최근 주가가 상승하는 것과는 반대로 자금
hamond.tistory.com
꼭! 잊지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채권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채권 시황) 금리차 역전 10개월째, 경기 침체가 온다. _23년2월3일 (0) | 2023.02.03 |
---|---|
미국 채권 시황) 파월 연설 이후, 상승폭을 키운 채권 시장! _23년2월2일 (1) | 2023.02.02 |
미국 채권 시황) 다음주 2월 FOMC를 앞두고 채권 시장은 관망세 _23년1월28일 (0) | 2023.01.30 |
미국 채권 시황) 치솟는 금값 채권 시장에 미치는 영향 _23년1월26일 (1) | 2023.01.26 |
미국 채권 시황) 미국 2월 금리인상 중단 논의? _23년1월25일 (0)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