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9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 12월 7일) 태양광 관련 기업 솔라엣지와 인페이즈 에너지 주가 상승
태양광 관련 섹터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특히 솔라엣지(SEDG)에 대해 뱅크오브아메리카에서 중립에서 매수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주가가 4% 상승하였는데요.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평가가 보통 베어리쉬한편인데 향후 주가가 20% 이상 상승할 수 있다며,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인페이즈 에너지(ENPH)는 이미 52주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는데요. 오늘 또한 3%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12월 8일) 게임스탑(GME) 실적 쇼크에도 주가 10%급등
게임 스탑(GME)은 주당순이익 -0.31(예측 -0.28) 매출은 11.9억 달러(예측 13.5억 달러)로 실적 쇼크임에도 주가가 10% 급등하였습니다. 주가 급등 이유가 21년 같은 분기에는 -1.39였으나 22년에는 -0.31이므로 개선(?)되었다는건데요.
개인적으로 EPS가 개선된 부분은 인정하지만... 매출은 전년 동일 분기 13억 달러에서 11.9억 달러로 감소했기 때문에 만약 투자하실 생각이 있으시다면, 꼭 심사숙고하시길 바랍니다.
→ 12월 9일) 넷플릭스(NFLX) 3% 상승! 그 이유는?
21년도말에 비중을 조절하면서 넷플릭스(NFLX)를 팔았었지만, 저도 꽤 오랫동안 투자했던 기업인데요. 22년 내내 하락하다가 다시금 바닥을 다지고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특히 9일에는 웰스 파고에서 비중 확대 의견을 낸 것이 트리거가 되어, 시장이 안좋은 상황에서도 3%상승하였습니다.
사실상 넷플릭스는 상승할 핑계거리만 찾는 상황이였는데요. 그 이유는 이번에 광고형 베이식 멤버십이라는 요금제를 출시했고 이에 대한 시장에 반응이 긍정적이였습니다.
확실히 이렇게 선제적으로 추가 이익을 위한 아이디어를 내는 모습을 보면, 확실히 넷플릭스가 OTT 사업을 잘 이해하고 운영해나가는 선두 기업인 것은 확실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 OTT 점유율
1위 넷플릭스, 2위 프라임 비디오(아마존), 3위 HBOMAX, 4위 디즈니플러스, 5위 hulu, 6위 애플TV 플러스 등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OTT사업에 참여하는 다른 많은 기업들 또한 넷플릭스를 주목하고 있고, 수익성이 높다면 분명 금세 따라할 것이 분명하니까요. 따라서 넷플릭스 투자자분들 또한 넷플릭스가 향후 어떻게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나가는지 주목하시고 그 성과를 가늠하며 투자에 임하셔야겠습니다.
(넷플릭스가 모바일 게임도 운영하고 있는데요. 투자자분들은 이 분야도 관심있게 살피셔야겠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2년 12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2월 1일)10월 미국 노동부 JOLTs 보고서, 원유재고, 파월 의장 연설,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10월 미국 노동부 JOLTs보고서 1033.4만 건(예측
hamond.tistory.com
경제 뉴스 종합) 22년 12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및 의견 종합
1. 11월 23일)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 도입 → 11월 23일 G7과 유럽 연합에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액을 정한다고 합니다. 가격을 65~70달러 선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는 이미 유럽
hamond.tistory.com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 개별 기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보기 좋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미국보다 중국 생산자물가 지수를 봐야한다! _22년12월10일
→ 12월 8일)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추세적 상승? 미국에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3만(예측23만)으로 지난 2년을 아래와 같이 차트로 살펴보면 22년4월에 바닥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상승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미국 생산자물가 지수 하락 추세 유지 중 _22년12월10일
→ 12월 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더 오르면 경기 침체 신호로 봐야한다. → 미국에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3만(예측23만)으로 지난 2년을 아래와 같이 차트로 살펴보면 22년 4월에 바닥을 찍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기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기업 뉴스) 긍정적 CPI에도 테슬라(TSLA) 급락! 그 이유 해외 뉴스 모음 정리 _22년12월14일 (0) | 2022.12.14 |
---|---|
미국 기업 뉴스) 테슬라(TSLA) 급락, 고금리 부채 때문이다? _22년12월13일 (1) | 2022.12.13 |
미국 기업 뉴스) 실적 쇼크에도 급등? 게임스탑(GME) _22년12월9일 (1) | 2022.12.09 |
미국 기업 뉴스) 인페이즈 에너지(ENPH), 솔라엣지(SEDG) 주가 급등! _22년12월8일 (1) | 2022.12.08 |
미국 기업 뉴스) 중국 코로나19봉쇄 최대 수혜자 화이자(PFE) _22년12월7일 (0) | 2022.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