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채권 시황

미국 채권 시황) 미국 세금 내는 날! 특히 향후 몇일이 중요! _23년4월19일

by O.A. Balmy 2023. 4. 22.
반응형

<4월 18일 미국 채권 시황>

→ 4월 18일) 미국 세금 내는 날! 특히 이번에 중요하다!

4월 18일은 미국인들이 세금을 납부하는 마지막 기한이었습니다. 이 날까지 세금을 완납하여야만 나중에 가산세가 발생하지 않죠. 매년 납부하는 세금이지만, 올해가 특히 주목받는 것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미국 부채한도 위기와 세수 확보

 

This year's tax season is critical to the debt ceiling debate. Here's why. | CNN Politics

CNN  —  Just how much longer the federal government can keep paying its bills on time and in full depends greatly on this year’s tax collections. With tax season coming to a close for many filers on Tuesday, the Treasury Department will soon know the

www.cnn.com

 

 

미국 재무부 계좌가 바닥을 보이는 상황

현재 미국 재무부의 계좌가 거의 바닥이 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월 18일 세금이 충분히 걷어져서 미국 재무부 계좌를 채우지 않는다면, 당장에 미국 정부의 예산이 투입되야 하는 일들을 멈춰야만 하는 것입니다.

미국 재무부 TGA 계좌 상황

물론 갑작스럽게 모든 지출을 멈추는 것은 아닙니다. 일단 미국 국채에 대한 이자 지급을 못하는 상황 즉 디폴트(파산)되는 상황은 막아야 하기 때문에 국채에 대한 이자 지급 비용은 어떻게든 지불할 것 입니다.

 

하지만, 미 국채 이자 지급 외에 실업보험, 의료보험 등 복지 지출이나 또는 지불을 조금 미룰 여력이 되는 퇴직연금, 군인연금 등의 연금 지출을 중요도 순으로 중단할 수 있습니다.

 

4월 18일에 확보한 세수가 최소한 6월 15일 해외 거주 미국인들의 세금 납부일까지 현 재정 상황을 유지할만한 충분한 금액이 아니라면, 미국은 파산(디폴트)에 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4월 18일에 세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다면, 디폴트에 처하기 전에 미국 의회가 빠르게 부채한도 협상에 들어가야 합니다.

 

 

부채한도 상향이 필요한 상황

미국 정부의 TGA계좌가 바닥을 보이는 상황에서 결국 해결책은 미국 의회에서 부채한도협상을 통해 부채한도를 상향하고 국채를 찍어서 발행함으로써, 미국 정부의 재정을 충당하는 것입니다.

 

이미 1960년 이후 수십 차례나 부채한도 협상이라는 내홍을 겪었고 결과적으로는 부채한도를 상향해 왔던 역사가 있기 때문에, 현재 미국인들 뿐만 아니라 외국 투자자들도 부채한도협상을 일시적 이벤트 정도로 여기 있는 게 사실이죠.

 

 

부채한도협상 후폭풍이 문제

과거를 살펴보면, 당연하게도 부채한도가 상향되면, 미 정부가 더 많은 재정 지출을 할 수 있으므로, 주가는 상승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난항이 있을 수는 있지만 부채한도는 상향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몇 가지 후 폭풍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미 국채 가격 하락으로 인한 문제

→ 최근 많은 은행들이 국채 가격 하락(=국채 금리 급등)으로 인해 국채 담보 가치 하락으로 손실이 커진 상황인데요. 여기에 미국 정부가 국채를 더 찍어서 공급한다면 다시금 국채 가격이 하락할 위험이 있습니다.(=국채 금리 폭등)

 

이는 미국 은행에게도 리스크이지만, 주식 시장 입장에서도 미국 국채 금리가 높아지면, 자금이 주식 시장에서 채권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주식 시장이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S "부채한도 갈등, 국채금리 상승시켜 시장에 실질적 피해"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미 의회의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결국 타결되겠지만 이에 앞서 국채금리가 오르는 등 금융시장에 실질적인 피해를 줄 것이라고 크레디트스위스(CS)가 경고했

news.einfomax.co.kr

 

2. 부채한도는 상향하지만, 재정 지출은 줄이는 문제

→ 하원 의장인 케빈 매카시 의원은 미국의 재정 지출을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기 때문에 공화당에서 의장으로 밀어줬던 것을 생각해 보면, 부채한도를 상향하더라도 재정 지출이 줄어들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재정 지출이 줄어든다면, 명목 GDP감소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때 만약 민주당과 공화당 양당에서 빠른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조금 과장하자면, 2018년에 있었던 미국 정부가 셧다운 하는 상황이 재현될 수 있습니다.

 

美하원의장 "정부지출제한 포함해야" vs 백악관 "조건없이 상향"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초과로 인한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

www.yna.co.kr

 

3. 2011년, 신용평가기관(S&P)에서 미국 신용 등급 강등 재현

2011년 8월 5일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하나인 S&P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강등 이후, 현재까지도 S&P에서는 미국 신용등급이 AA+인 상황입니다.

 

이러한 신용등급 강등은 주식 시장을 크게 흔들 수 있는데요. 당시에도 나스닥 지수가 약 15%가량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났었습니다.

 

미국 신용등급 하락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 click 경제교육 | KDI 경제정보센터

2011년 8월 5일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하나인 SP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사상 최초로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했다. 미국의 신용등급이 하락한 것은 국가별 신용등급이 발표되

eiec.kdi.re.kr

 

 

개인적인 결론

분명 부채한도 협상은 결국 매번 상향하면서 마무리되었고, 부채한도가 상향되면 주가가 올랐던 적이 더 많습니다. 솔직히 그만큼 주식 시장이 미국 정부의 재정 지출 즉 유동성 공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죠. 최근 주가 상승도 결국 간접적이지만 미국 정부가 유동성을 공급했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했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시적이라고 해도 현재 미국 정부의 재정이 바닥났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 여러분들도 이 부분을 충분히 이해하시고 투자에 임하시면 좋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블로거 개인의 의견이며, 투자 권유나 조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책임이며, 본 글은 개인의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4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4월 3일)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3월), ISM 제조업고용지수 (3월), ISM 제조업 신규주문지수 (3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3월), ISM 제조업물가지수 (3월) →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3월) 49.2 (49.3), I

hamond.tistory.com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1.9% 예상되므로 유 사치까지 상승

장기 금리(10년 물) : 기준 금리보다는 향후 경제 전망에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 상승

※ 10년물 금리와 2년 물 금리가 함께 상승하는 것이 좋음(※3개월 금리는 예외)

▷장기 금리가 상승해야 장단기 금리차가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10년 물 금리- 2년물 금리)

→ 연준에서 양적 긴축 (QT)을 위해 10년물 채권을 매도하면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게 됨.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

(22년 4월 1일과 7월 6일 금리차 역전)

 

10년물과 3개월 물 금리차

(22년 10월 19일 금리차 역전)

 

연준 대차대조표

 

미국 역레포 자금

역레포 : 역레포는 레포와는 다르게 시중 은행으로 부터 중앙은행이 단기 증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역레포의 증가는 중앙은행이 급히 시중에 유동성을 흡수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3,6,9,12월은 시중 은행에서 회계 문제로 인해 레포를 축소하기 때문에 이 경우 시중은행은 지급준비금이 감소하게 되고 MMFs에서는 중앙은행에 역레포를 하게 되기 때문에 역레포에 자금이 들어오게 됩니다.

 

 

미국 재무부 계좌

Treasury General Account(TGA) : 미국 재무부에서 세금이나 국채를 발행함으로써 확보한 자금을 보관하는 계좌에서 자금의 변동을 차트로 표시합니다. 국채를 많이 발행하여 팔게 되면 차트가 상승하고, 재정지출이 발생하면 차트가 하락합니다. 이러한 미 재무부의 계좌는 의회에서 정한 부채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국채를 마구 발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23년 4월 3일 현재 미국의 부채한도가 상한선에 도달하였으므로, 양적완화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차트의 상승은 유동성의 흡수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10년물 / 2년물 / 3개월 물 국채  수익률

국채 금리 = 국채 수익률은 채권 가격과 반비례합니다. 예를 들어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는 것은 국채 수익률이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안전 자산인 채권 수요 증가]→[채권 수익률(국채 금리) 하락]입니다.

▷미국 채권 수익률 일봉 차트

 

 

하이일채권 스프레드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에서 국채 수익률을 뺀 값으로, 이 값이 상승하면 시장이 위험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4% 이하로 하락해야 시장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이일드 채권은 BB등급 이하 채권으로 정크본드로 경기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국채 수익률의 하락은 채권 가격의 상승을 의미하므로,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시, 고 위험 자산인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는데요. 이는 경기침체 상황에서 각 기업의 상환 능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 미국 내 기업들의 상황이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미국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다 보니 생각보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미국 기업들의 매출 감소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더 크게 상승하면서 주가가 급히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FedWatch Tool

페드워치는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 정도를 보여줍니다. 미국 시장에서 발표되는 각종 지표들이 곧바로 반영되면서 예상치가 변하기 때문에 시장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2년 미국 3분기 GDP발표 강달러, 수출 증가 그리고 미래

미국 22년 3분기 실질 GDP 상승 미 상무부에서 실질 GDP 3.2%(예측 2.9%)로 발표하였습니다. 예측치를 넘는 강한 성장을 발표하였는데요. 그 내용에 있어서도 투자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미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