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기업 뉴스

미국 기업 뉴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8% 주가 급등! 삼성 전자덕분? _23년4월11일

by O.A. Balmy 2023. 4. 15.
반응형

<4월 10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 4월 10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8% 주가 상승은 삼성 덕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주가가 8% 급등하는 모습이 나타났는데요. 그 원인이 저번주에 발표된 삼성전자의 메모리 칩 감산 계획 발표 때문이라는 외신 뉴스가 있습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주가 상승은 삼성 전자 덕?

 

Samsung Electronics to make 'meaningful' cut to chip production in effort to support prices

The figure was worse than analysts had forecast, as a chip glut worsened and buyers slowed purchases amid a global economic slowdown.

www.cnbc.com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감산을 선언했지만, 삼성 전자는 선언하지 않았었죠. 따라서 삼성 전자가 드디어 감산을 선언하였으므로 시장의 메모리 칩의 재고가 유의미하게 감소할 것이며, 다시금 메모리 칩에 가격 반등이 시작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3~4년 주기로 나타나는 반도체 사이클

확실히 위 논리는 한편으로 이해가 되는 면이 있습니다. 아래 2008년 이후 삼성 전자의 주가를 월봉 차트로 길게 늘어나보면, 아래 주기적으로 파란색 박스 치는 구간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박스 구간이 3~4년으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1년간 급등하였으며, 21년 2월 이후 지금까지 2년간 하락하였으므로, 반도체 사이클이 3~4년 주기라고 볼 때, 충분히 바닥에 도달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입니다.

2008년 이후 삼성전자 주가와 주요 이슈들

게다가 삼성 전자가 치킨 게임을 가는 것이 아닌 스스로 감산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마이크론 입장에서는 안심되는 부분도 분명 있었을 것입니다.

 

 

 

조금 다른 관점으로 살펴보는 반도체 사이클

단순히 수요와 공급으로 반도체 사이클을 설명하는 것은 이미 다른 분들이 많이 설명해 주셨기 때문에 저는 그동안의 뉴스를 모아서 다른 관점으로 사건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반도체 사이클 시기에 어떤 뉴스가 있었는지 위주로 살펴보는 것입니다.

반도체 치킨 게임에 대한 기사 링크

 

반도체 치킨게임의 추억, 최후의 승자는?

최근 반도체업계가 ‘슈퍼사이클(초호황)’로 호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죽느냐! 사느냐!’를 두고 치열한 생존 경쟁을 벌였습니다. 이른 바 ‘D램 치킨게임’이

news.skhynix.co.kr

 

위 차트를 보면 신기하게도 반도체 치킨 게임의 승자와 패자가 확실시되었을 때, 주가는 오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09년 1차 치킨 게임이 그랬으며, 2012년 2차 치킨 게임 또한 승자와 패자가 나누리 고난 후, 나머지 승자들의 독주가 시작되게 됩니다.

 

특이한 부분은 2017년으로 이 당시에 미국 중심 주의가 나타난 것인데요. 중요한 것은 이때부터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꺾기 위해 동분서주하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즉 중국과의 3차 치킨 게임이 발발할 수 있었던 것이 자연스럽게 차단되면서 랠리가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후는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이 주가를 끌어올렸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일 것 입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와 대중 반도체 수출 금지 조치

문제는 중국의 반도체 굴기가 끝난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중국 반도체 특히 삼성 전자와 마이크론의 주력 상품인 메모리 칩뿐만 아니라 중국산 그래픽 카드(무어스레드 MTT S80)까지 생산되기 시작한 상황입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 끝나지 않았다.

 

'반도체 굴기는 지금부터'…중국 반도체 경쟁력 어디까지 왔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결코 실패하지 않았으며 여전히 진행 중이다. 중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은 충분히 한국을 위협할 수 있다.”김용석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반도체공학회 부회장)

www.thelec.kr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마음이 급할 수밖에 없고 결국 2023년 3월 대 중국 반도체 수출 금지까지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미국 의존도가 큰 한국 입장에서는 동참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美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에 한국도 포함"...사실상 전면봉쇄

[앵커]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에 한국...

www.ytn.co.kr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실적에 엄청난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중국으로 반도체를 수출하는 규모가 46%나 감소한 것입니다. 우리 나라 무역 수지 적자가 이것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중국으로의 반도체 수출 감소

 

D램값 곤두박질친데다, 대중 반도체 수출 46%나 빠졌다

1월 무역수지 적자 역대 최대15대 주요품목 중 최대 폭 감소시스템반도체 수출도 하락 반전대중국 반도체 수출 46.6% 감소산업부 “반도체 가격 하락 당분간 이어질 것”

www.hani.co.kr

 

 

 

개인적인 결론

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삼성 전자의 감산 발표가 과연 반도체 사이클의 저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라는 것입니다.

2008년 이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월봉 차트

오히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주가 상승은 이해가 가는 면이 있습니다. 미국 기업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외에 메모리 칩을 생산하는 대표 기업 2곳인 삼성 전자와 SK하이닉스에 주요 매출원인 중국을 끊어버린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인 것입니다.

즉 경쟁업체들의 매출도 감소하고 생산도 줄인다는데 마이크론 입장에서는 당연히 반길만한 일일 것 입니다.

 

게다가 미국은 현재 자국 반도체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소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확실한 내수 시장을 갖추고 있는 것이죠. 

 

수요와 공급 외에도 위와 뉴스 플로우에 따라 이번 반도체 사이클을 평가해 보았습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가 과연 어떻게 진행될지로 볼 수 있겠는데요. 투자자 여러분들도 이와 관련된 뉴스에 주목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해당 포스팅은 블로거 개인의 의견이며, 투자 권유나 조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책임이며, 본 글은 개인의 생각을 적은 글입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 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자금 흐름 확인 도구를 이용해서 디테일한 확인도 가능합니다.

ETF자금 흐름 확인 도구

 

 

미국 개별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 보기 좋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