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속광의 특징
- 보면서 촬영할 수 있음.
- 할로겐조명: 색온도 3200K 붉은 빛이 돌고 광량 조절이됨, 전력소모가 크다., 열이 많이 발생한다. 램프 수명이 짧음
- 형광등조명: 색온도는 램프에 따라 다름, 색온도 6000K정도로 데이라이트와 유사, 광량이 약하다(디테일한 부분이 촬영이 안됨), 웨딩이나 베이비스튜디오는 이를 이용해서, 일부로 형광등씀 뿌얗게 나오니까, 형광등은 플리커현상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려면 셔터스피드를 1/100보다 느리게 유지해야함
- 텅스텐조명: 드라마나 CF에 많이 사용함. 광량은 500W~1000W램프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열이 많고 전력 소모가 큼, 5500K(데이라이트)가 있음!!! 가격은 좀 비싸지만
- LED조명: 전력소모가 적음, 5500K(데이라이트)가 가능! 램프 수명도 길다., 유튜브에 많이 사용함, 단 광량이 부족함.
순간광의 특징
- 순간 터지니까 안보임. - 스트로보에 있는 모델링 램프를 활용해야함.
- 색 온도가 태양광과 가장 가까움.
- 광량이 매우 강함.(디테일한 것도 잘 찍힘)
- 전력소모도 적음
반응형
'카메라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콘 DSLR카메라 HDR 촬영 모드 설정 방법 (0) | 2021.05.18 |
---|---|
사진 교육 3강, 색 온도 (빛의 색깔), 화이트발란스 (0) | 2021.05.10 |
사진 촬영 교육 2강, M모드에서 노출을 맞추는 방법 (0) | 2021.05.10 |
사진 촬영 교육 1강, 셔터 / 조리개 / 감도 (0) | 2021.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