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3일 미국 주식 시황>
공포 탐욕 지수
→ 11월 18일 VIX지수가 이중 바닥 형성 지점에 도달하였습니다. 만약 다음주 월요일인 21일에 주가가 한번 더 하락하는 경우 VIX지수가 상승하면서 다시금 상승 추세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반대로 21일 추가로 직전 저점을 깨고 하락한다면, 한동안은 주식 시장에 큰 변화없이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 11월 23일 VIX지수가 추가로 하락하면서, 미국 3대 지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미국 주요 지수
다우 +0.28% / S&P500 +0.59% / 나스닥 +0.99% / 러셀 2000 +0.13%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2년 1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1월 1일) 10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10월 미국 ISM 제조업 고용 지수, 9월 미국 노동부 JOLTs 보고서 → 미국 노동부 JOLTs보고서(9월) 1071.7만(예측1000만) 구인, 이직 증가 → 10월 미
hamond.tistory.com
경제 뉴스 종합) 22년 11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및 의견 종합
1. 미국 전략비축유 1500만배럴 방출 발표 → 미국 바이든 정부에서 전략비축유 1500만 배럴을 방출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필요하다면 추가 방출도 가능하다고 밝혔는데요. 현재 [유가 하락 안
hamond.tistory.com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 11월 18일) 러시아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연장 결정
→ 불과 11월 1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맺은 흑해 곡물 반출 합의를 이행하지 않겠다고 밝혔었는데요. 다행히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연장되게되었습니다.
갑자기 태도를 바꾸는 러시아의 모습에서 11월 15일~16일에 있었던 폴란드 미사일 사태와 관련있지는 않은지 의심이 드는데요. 러시아에서 해당 미사일 사건을 덮어주는 대가로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흑해 곡물 수출 협정에 대해 연장을 허락한게 아닐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를 링크하였습니다.
Russia and Ukraine renew a grain export deal to help the hungry and keep prices down
The U.N.-brokered deal to ship Ukrainian grain exports was set to expire on Saturday and will now continue for at least another 120 days.
www.npr.org
러시아가 일방적으로 흑해 곡물 수출 협정을 이행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급등했던 곡물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주식 시장도 상승 동력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점차 주식시장의 포커스가 우러전쟁보다는 경기 침체쪽으로 기울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주로 살펴볼 필요가있는데요. 이미 미국 국채 시장 그리고 주식 시장 모두 국채 가격 상승과 유틸리티 섹터의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 11월 21일) 미국 주요 지수들이 상승 추세선 하단에 도달한 상황
현재 미국 주요 지수들이 상승 추세선 하단에 도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수로 볼때는 하락폭이 크지 않지만, 주로 많이들 투자하시는 빅테크들이 많이 하락했기 때문에 체감상 주가가 많이 하락한 것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저도 마찬가지랍니다... ^^ )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것 처럼 현재 매크로단에서도 그렇고 투자금들이 대부분 경기 침체를 대비하는 쪽으로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과거에도 비슷한 움직임이 여러번 나타났었지만, 드디어 본격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이렇게 다우쪽으로 피난간 돈들은 언젠가는 다시 돌아올 것입니다. 다만 주가가 하락하고, 실적이 악화되는 상황 속에서 굳건히 버티고 수익을 낼 기업을 찾는게 중요할 것입니다.
→ 11월 23일) FOMC 의사록 발표와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 도입
1. 11월 23일 FOMC의사록이 공개되면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대해 대부분의 위원들이 동의했다는 내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자, 금일 주식 시장은 힘차게 반등하였습니다. 주요 골자는 최근 빠른 금리 인상으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금리 인상 속도를 낮추고 시간을 두고 경제 상황을 지켜봐야한다는 것인데요. 고금리 상황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이 부분을 꼭 고려하여 투자에 임해야겠습니다.
2. G7과 유럽 연합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실시하기 위해 상한액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현재 나온 이야기로는 65~70불 정도선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가격은 이미 러시아가 중국, 사우디, 인도 등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고 있는 나라에 재공하는 가격과 비슷하므로, 오히려 러시아 입장에서는 불이익 없이 다시금 자국 원유를 유럽과 G7국가에 판매할 수 있게되는 것 입니다.
이로 인해 이미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하락하고 있는 유가가 다시금 러시아산 원유가 공급되면서 공급이 늘어나면서 추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되는데요. 실제로 금일 유가 선물 가격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G7과 유럽 연합이 가격 상한제라는 명분만을 얻고 러시아는 다시금 원유 수출량을 늘리면서 경제를 회복하는 수순으로 이어질 것 같습니다.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FOMC의사록 발표! 금리인상 속도 조절이 적절 _22년11월24일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에너지 섹터만 급락한 이유는 무엇일까? _22년11월24일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온고지신! 미국 2014~2018년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긴축 시기! 나스닥지수 움직임은 어땠을까? 정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 긴축에 대한 나스닥 지수 움직임 2014년 테이퍼링 시작 시기 과거 2013년 5월 연준은 테이퍼링에 대해서 언급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제 시행은 2014년 1월이었습니다. 2014년 1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시황) 불라드 총재, 24년까지 금리 수준 유지 주장_22년11월29일 (1) | 2022.11.29 |
---|---|
미국 주식 시황) 직전 저점 이탈, 유가 선물 가격 급락! _22년11월26일 (0) | 2022.11.28 |
미국 주식 시황) S&P500 상승 추세선 하단 도달 전 저점 이탈 시도할까? _22년11월22일 (0) | 2022.11.22 |
미국 주식 시황) 러시아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연장한 이유는? _22년11월19일 (1) | 2022.11.21 |
미국 주식 시황) 불라드 총재 기준금리 최대 7%까지 올릴 수 있다. _22년11월18일 (0) | 2022.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