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주식 시황

미국 채권 시황)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 역전 심화! 이대로 괜찮을까? _22년10월26일

by O.A. Balmy 2022. 10. 26.
반응형

<10월 25일 미국 채권 시황>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1.9% 예상되므로 유 사치까지 상승

장기 금리(10년 물) : 기준 금리보다는 향후 경제 전망에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 상승

※ 10년물 금리와 2년 물 금리가 함께 상승하는 것이 좋음(※3개월 금리는 예외)

▷장기 금리가 상승해야 장단기 금리차가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10년 물 금리- 2년물 금리)

→ 연준에서 양적 긴축 (QT)을 위해 10년물 채권을 매도하면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게 됨.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

-0.25%에서 0.07하락한 -0.32마감 (22년 4월 1일과 7월 6일 금리차 역전)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차

0.09%에서 0.13하락한 -0.04%마감(22년 10월 19일 금리차 역전)

→ 미 연준에서 주목하는 것은 10년물과 3개월물의 금리차인데요. 10년물과 2년물의 금리차 역전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올 때, 마다 항상 10년물과 3개월물이 더 중요하다고 언급했었죠. 그랬던 10년물과 3개월물의 금리차도 역전 직전까지 와있는 상황입니다.

→ 10월 19일 미국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차가 역전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가 역전되는 경우 6~12개월 후 경기 침체가 온다고 말하는데요. 10월은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가 역전된지 딱 6개월이 지난 달 입니다. 

 

11월 2일 연준의 FOMC가 이제 보름도 남지 않은 상황인데요. 정말 중요한 FOMC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10년물과 3개월물의 금리차 역전은 현재 상황이 확실한 경기 침체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각종 매체에서는 경기 침체가 아니라고 말하지만, 사실상 우리는 올해 이미 경기 침체를 겪고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10월 25일 최근 주가가 상승하며, 환호하는 주식 시장과는 다르게 채권 시장에는 불안감이 있습니다.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의 역전 현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간신히 버티던 10년물과 3개월물이 이제는 쉽게 역전되는 모습을 보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감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게되면, 은행의 수익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은행은 예금(단기간)과 대출(장기간)사이에 차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만들어내는데요.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게되면, 오히려 은행이 손해를 보게되는 것 입니다. 따라서 은행은 대출을 줄이게되고, 대출의 감소는 기업들의 투자와 기술 개발 여력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개인들은 큰 돈을 빌릴 수 없으므로, 이사를 가거나 큰 소비를 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경기 침체를 가져오게되고, 보통 Fed는 이러한 시점에서 금리를 인하함으로써, 단기채 금리를 낮추는데요. 이를 양적 완화라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장기채 금리는 더 이상 올라가면, 위험한? 상황에 와있기 때문에 장단기 금리차를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단기채 금리를 낮추어야하는데요. 인플레이션 위험 때문에 쉽게 낮출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최소한 현재 상황을 유지(아슬아슬하게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이 안되는 선)하면서 시간을 벌고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기를 기다리는 방법을 쓸 수 밖에 없는 것이죠.

 

문제는 은행이 이러한 상황을 버텨줄 수 있느냐인데요. 다행히 최근 미국 은행들의 실적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행들이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서 충분히 대비하고 있는 상황이죠 (버냉키 전 Fed의장께서 은행에 대한 시스템적 논리를 만들고 퇴임하셨고, 이것으로 최근 노벨상을 수상하셨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러한 교착 상태는 결국 성장으로만 해결할 수 있으며, 결국 성장 즉 미국의 생산성 증가만이 해결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 코로나19로 인한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경기 침체로 이어질까?

코로나19로 인해 유동성이 풀려버린 현재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 이 부분은 미국과 다른 나라와는 다르기 때문에 미국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의 경제 활동이 제

hamond.tistory.com

 

 

미국 10년물 / 2년물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10년물 국채 수익률 4.100 / 2년물 국채 수익률 4.4728 / 3개월물 국채 수익률 4.1130

국채 금리 = 국채 수익률은 채권 가격과 반비례합니다. 예를들어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는 것은 국채 수익률이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안전 자산인 채권 수요 증가]→[채권 수익률(국채 금리) 하락]입니다.

 

22년 10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1. 영국 정부 열흘만에 감세안 철회 → 글로벌 증시를 흔들었던 영국의 소득세 최고세율 인하안이 열흘만에 철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영국 정부 감세안]→[채권 급락]→[보험사, 연기금 마진

hamond.tistory.com

 

22년 10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0월 3일)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9월 미국 ISM 제조업 고용 지수 →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52(예측 51.8) 확장 국면, ISM 제조업 고용지수 지수 48.7(예측53) 악화(시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수익률 일봉 차트

10월 21일 채권 가격 급락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21일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338까지 도달 후, 현재는 4.2선에서 머물고 있는데요. 10년물 국채 금리가 3%가까이 움직인 것 입니다. 정확히는 19일부터 3일 연속 큰 폭으로 상승했었죠.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연준에서도 위기감을 느낀 것 같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연은 메리 데일리 총재와 시카고 연은 찰스 에반스 총재가 급히 금리 인상 조절에 대한 뉘앙스로 연설을하고, 닉 티미라오스 기자가 갑자기 월스트리트저널에 기사를 내기 시작하죠.

 

Fed Set to Raise Rates by 0.75 Point and Debate Size of Future Hikes

Some officials have begun signaling their desire to slow down the pace of increases soon and to stop raising rates early next year to see how their moves this year are slowing the economy.

www.wsj.com

이러한 반응을 볼 때, 채권 금리가 거의 정점에 다달았음을 어렴풋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이상가면, 미국도 뭔가 문제가 생길게 분명한 것이죠. 그렇지 않고서야 이렇게 발작적인 반응이 나타날 이유가 없어 보입니다.

 

→ 10월 24일 영국의 차기 총리로 리시 수낵 전 재무 장관이 단일 후보로서 사실상 당선이 확실시되었습니다. 리시 스낵 장관은 과거 골드만삭스에서 애널리스트로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헤지펀드에 입사하여 고위급 임원까지 승진한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주식과 채권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풍부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물입니다.

이러한 전문성 있는 인물이 차기 총리로 예정되면서, 그동안 영국 채권 시장에 대해 잃어버렸던 신뢰가 어느 정도 되살아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영국 국채가 안정화되면서, 미국 채권 시장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4.99%에서 0.08하락한 4.91%마감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 에서 국채 수익률을 뺀 값으로, 이 값이 상승하면 시장이 위험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4% 이하로 하락해야 시장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이일드 채권은 BB등급 이하 채권으로 정크본드로 경기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국채 수익률의 하락은 채권 가격의 상승을 의미하므로,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시, 고 위험 자산인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이 급등하는데요. 이는 경기침체 상황에서 각 기업의 상환 능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 미국내 기업들의 상황이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미국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다보니 생각보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미국 기업들의 매출 감소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가 더 크게 상승하면서 주가가 급히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FedWatch Tool

페드워치는 시장이 예상하는 금리 인상 정도를 보여줍니다. 미국 시장에서 발표되는 각종 지표들이 곧 바로 반영되면서 예상치가 변하기 때문에 시장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 10월 10일 주요 Fed인사들의 발언이 시장 불안을 다소 잠재우는 모습이였습니다.

  • 벤 버냉키 전 Fed의장 : 최근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신 분으로, 기자 회견에서 인플레이션과 금리는 결국 낮아질 것이라고 발언하셨습니다. 그 근거로 미국 은행들이 충분히 대비가 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 시카고 연은 에반스 총재 : 현 상황에서 선제적인 금리인상이 적절한게 맞지만, 과도한 조치는 큰 대가를 치를 수 있다.
  • 연준 브레이너드 부의장 : 제약적 통화정책은 지속되어야 하지만, 예상 못한 금리 인상은 시장 불안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비둘기적 발언은 시장 금리 인상 예상치를 다소 낮춘 것으로 보입니다.

 

→ 10월 13일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컨센서스보다 높게 발표되면서, FedWatch에 금리 인상 예상치가 11월 75bp 12월에도 75bp로 높아졌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구글(GOOG), 마이크로소프트(MSFT) 시간 외 6.5% 급락!? _22년10월25일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 10월 13일 금융 섹터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14일 장 시작전에 미국 금융주들의 실적 발표가

hamond.tistory.com

 

미국 주식 3분기 어닝 일정 및 결과(22년 10월 24일~10월28일)

10월 24일 ~ 10월28일까지 어닝 일정 어닝 발표일뿐만 아니라 발표 시간도 매우 중요합니다. 당일 주식 시장에 어닝 결과가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당일 해당 주식을 추가 매수해야 할지, 매도

hamond.tistory.com


꼭! 잊지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로 트위터를 통해서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신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기사를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