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주식 시황

미국 주식 시황) 주식보다 채권 시장이 먼저인 상황! _22년10월22일

by O.A. Balmy 2022. 10. 24.
반응형

<10월 21일 미국 주식 시황>

공포 탐욕 지수

→ 10월 14일 VIX 지수가 상승 채널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재차 상승한다면, 지수가 저점을 갱신할 확률이 높습니다. 우스개 소리이지만, 최근 가장 좋은 투자처가 VIX지수 추종 상품이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변동성이 큰 시장입니다.

→ 10월 20일 VIX 지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상 상승 추세선 하단을 이탈하는 모습으로, VIX가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매도물량이 거의 다 나왔다고도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 주요 지수

다우 +2.47% / S&P500 +2.37% / 나스닥 +2.31% / 러셀 2000 +2.22%

 

22년 10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1. 영국 정부 열흘만에 감세안 철회 → 글로벌 증시를 흔들었던 영국의 소득세 최고세율 인하안이 열흘만에 철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영국 정부 감세안]→[채권 급락]→[보험사, 연기금 마진

hamond.tistory.com

 

22년 10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0월 3일)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9월 미국 ISM 제조업 고용 지수 →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52(예측 51.8) 확장 국면, ISM 제조업 고용지수 지수 48.7(예측53) 악화(시

hamond.tistory.com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10월 19일 미국 주식 시장은 사실상, 채권 시장에 의해 움직였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채권 시장의 변동성이 주식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귀 동냥한 소식으로는 미국 또한 영국 처럼 20년물 국채에 대해 매입하는 방안 또한 검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이 전략비축유를 추가로 방출하고,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대한 지원을 법제화하는 것 또한 어떻게 보면, 일종에 부분적 양적 완화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에너지 부분에 있어서만 정책적으로 지원을 하려는 것이지요.

 

앞서 말씀올렸던 것 처럼 현재 [유가 하락 안정화]→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종전]까지도 나아갈 수 있는 만큼 사실상 총과 칼만 들지 않았지 경제 상황은 이미 전쟁터와 다름 없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최근 계속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 관련한 트윗을 올리는 것이죠. 어떻게든 빨리 상황이 마무리되는 것을 바라는 것 입니다.

 

 10월 20일 미국 주택 판매지수는 예측치보다는 높았지만, 추세적으로는 8개월째 하락 추세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택 판매지수의 하락은 TV나 냉장고 등 대형 가전에 대한 소비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기 침체에 대한 선행 지표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택 판매량 감소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함께 높아진 모기지 금리에 영향으로 볼 수 있는데요. 과거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겪었던 미국인들에게는 현재 높은 모기지 금리 상황에서는 선뜻 주택을 매수할 수 없는 것이죠. 같은 이유로 이미 다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입장에서는 높은 금리에 의한 늘어나는 비용을 세입자에게 전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월 임대료는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보면, 연준에서 향후 금리를 동결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금리를 여기서 더 과하게 올리게되면, 고용 감소로 인해 소비 여력이 급감한 미국인들이 무거운 임대료에 시달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게 많은 연준 의원들이 말하는 금리 인상에 대한 부작용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이죠

 

22년 10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0월 3일)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9월 미국 ISM 제조업 고용 지수 →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52(예측 51.8) 확장 국면, ISM 제조업 고용지수 지수 48.7(예측53) 악화(시

hamond.tistory.com

 

10월 21일 19일부터 21일까지 미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미국채 가격 급락) 개인적으로 연준에서도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급히 수습에 나선 것으로 보이는데요. 샌프란시스코 연은 메리 데일리 총재와 시카고 연은 찰스 에반스 총재가 급히 금리 인상 조절에 대한 뉘앙스로 연설을하고, 닉 티미라오스 기자가 갑자기 월스트리트저널에 기사를 내기 시작하죠.

 

Fed Set to Raise Rates by 0.75 Point and Debate Size of Future Hikes

Some officials have begun signaling their desire to slow down the pace of increases soon and to stop raising rates early next year to see how their moves this year are slowing the economy.

www.wsj.com

이러한 갑작스러운 태세 변환은 한편으로는 더 이상의 미국채 하락은 위험하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습니다. 즉 어떻게해서든 이 이상의 하락은 막는다는 의지를 보여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만약 현재 채권 시장이 바닥을 형성한 것이라면, (추가 하락 시, 어떠한 형태로든 미국이 채권 가격을 떠받친다면) 향후, 주식 시장 또한 안정화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미국채 하락에 급히 대응하는 연준, 미국채 이제 바닥인가? _22년10월22일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뉴스) 버라이존(VZ)이 가격 올리자 소비자 이탈? _22년10월22일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 10월 7일 반도체 섹터의 하락이 심상치 않습니다. AMD에서 3분기 컨센서스를 하향 조정하면

hamond.tistory.com

 

미국 주식 3분기 어닝 일정 및 결과(22년 10월 24일~10월28일)

10월 24일 ~ 10월28일까지 어닝 일정 어닝 발표일뿐만 아니라 발표 시간도 매우 중요합니다. 당일 주식 시장에 어닝 결과가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당일 해당 주식을 추가 매수해야 할지, 매도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온고지신! 미국 2014~2018년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긴축 시기! 나스닥지수 움직임은 어땠을까? 정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 긴축에 대한 나스닥 지수 움직임 2014년 테이퍼링 시작 시기 과거 2013년 5월 연준은 테이퍼링에 대해서 언급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제 시행은 2014년 1월이었습니다. 2014년 1

hamond.tistory.com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