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주식 시황

미국 주식 시황) PMI고용지수 50 하회와 영국 감세 정책 철회! _22년10월4일

by O.A. Balmy 2022. 10. 4.
반응형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개인 투자자로서, 매일 시장 정보와 개인적인 생각을 기록한 글 입니다. 글이 작성된 날짜를 꼭 확인해주세요.

 

<10월 3일 미국 증시 주요 뉴스>

1. 9월 21일 미국 기준 금리 75bp 인상

→ Fed는 금리를 75bp 인상하여, 현재 미국 기준 금리는 3.25%입니다. 이는 연준 의원들이 그 동안 발언해왔던 수치와 동일하며, 올해 기준 금리에 대한 예상치는 4.4%로 발표하였습니다. 기존 예상이 4%였으므로, 예상치가 10%나 높아진 상황입니다.

페드 공식 홈페이지 공개 자료

→ 기대할만한 부분은 실질 GDP의 변화입니다. 만약 Fed의 예상처럼 실질 GDP가 상승한다면, GDP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 * 100)가 크게 낮아질 것이며, 이는 기술적으로 명확하게 물가하락을 보여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2. 9월 22일 일본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 금리 동결 발표

일본은행이 단기 금리를 -0.1%로 동결할 것을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달러 인덱스가 계속 상승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 이렇듯 금리를 동결하게될 경우, 엔화 약세가 더 가속화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신기하게도, 오히려 이 날 엔화가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그 이유는 일본 재무성에서 환율에 개입하여, 환율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대량의 엔화를 매수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엔화는 크게 급등하면서, 엔화 급락에 위기는 모면했지만, 사실상 이러한 행동은 국제적으로 환율 조작국이라는 오명을 쓰기에 충분한 행동입니다. 여기서 재밌는 점은, 미국 재무부의 반응입니다.

 

미국 재무부는 일본의 이러한 행동을 이해한다고 발표했는데요. 한 마디로, 대놓고 시도하는 환율 조작을 눈감아 주겠다는 의미나 다름없죠. 이러한 미국의 반응은 일본과 미국 사이에 물밑 거래가 있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미국 입장에서는 더 이상 일본의 엔화가 하락하는 것을 방치할 수는 없는 것이죠. 엔화 급락으로 인해 일본 경제가 완전히 무너진다면, 결국 일본은 보유한 미 국채 1조2363억 달러치 가량을 매도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만약 대량의 미국 채권이 시장에 풀린다면, 미국 채권 가격이 급락하고,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영국 50년 이후 최대 감세 조치 발표

 일본에 이어서 이번에는 영국입니다. 영국 역사상 유래없는 감세 조치를 발표하였는데요. 이로 인해, 영국 정부의 부채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공포로 영국 국채금리가 급등하고 파운드화 가치가 37년 이후 최저치에 도달하였습니다.

 

미국 시장이 영국 정부의 부채 부담에 공포를 느끼는 이유는 영국 또한 미 채권 보유국 5위에 들기 때문입니다. 부채를 감당 못한 영국이 미 국채를 매도하면, 미국의 미 국채 수익률은 천정부지로 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영국이 흔들리면, 바로 옆에 있는 아일랜드 (미 채권 보유국 3위)마저 함께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미 국채의 수익률은 더 높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즉 미 국채 보유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 미국 주식 시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각 국가의 미 국채 보유량을 체크해보면 좋겠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순위 자체는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행히 스위스(6위) 중앙은행 요르단 총재는 스위스는 경기 침체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하였습니다. 만약 이후 스위스의 경제가 불안한 모습이 보인다면, 미국 시장은 또 한번 흔들릴 수 있습니다.

4. 영국은행 긴급 채권 매입 시작!

앞서 영국정부가 감세 정책을 편다는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이로 인해 영국 국채 금리가 급등했었습니다. 그러자 영국내에서 문제가 터졌습니다.

 

영국 장기 국채 금리 폭등은 영국 국채에 투자하는 영국의 보험사나 연기금을 파산 위기(마진 콜)로 몰아 넣었고, 이를 막고자 영국은행은 만기 20년 이상인 국채 위주로 9월28~10월14일까지 매일 50억 파운드씩 매입할 것을 발표한 것 입니다.

 

영국은행의 국채 매입은 결국 양적 완화로써 시장에 돈을 다시 푸는 것과 다름이 없으며, 부채는 늘고, 인플레이션은 커질 것 입니다. 이번 일로 인해 영국의 약점이 글로벌 헤지펀드들에게 노출되었다고 생각되며, 영국의 상황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5. LDI사태에 대한 외국 기사

앞서 전해드렸 듯 영국의 보험사나 연기금 등이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국채에 투자했고, 현재 국채 가격의 하락으로인해 마진콜을 당할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국채 레버리지 투자가 영국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건데요. 영국 외에 미국 등 다른 국가들도 이러한 투자를 이미 하고 있었고, 영국 상황과 마찬가지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글로벌 금융 시장이 두려움에 떨고 있는 상황입니다.

 

외국에서도 이와 관련된 기사들이 적은데요. 패닉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숨기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기사 링크

1. 블랙록, 국채 레버리지 투자 줄인다.

https://finance.yahoo.com/news/blackrock-says-reducing-leverage-ldi-133015614.html?fr=sycsrp_catchall

2. 기업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상황.

https://www.reuters.com/world/uk/uk-pension-funds-ask-corporates-cash-after-gilt-blow-up-sources-2022-09-30/

3. 폭스 비즈니스 뉴스 기자가 리먼모먼트급 사태일 수 있다고 트위터 언급

6. 영국 정부 열흘만에 감세안 철회

글로벌 증시를 흔들었던 영국의 소득세 최고세율 인하안이 열흘만에 철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영국 정부 감세안]→[채권 급락]→[보험사,연기금 마진콜 위험]→[영국 은행 긴급 채권 매입]→[글로벌 은행 연쇄 마진콜 위험에 대한 공포]→[주가 급락]으로 이어지던 상황이 다소 진정된 것 입니다.

 

그러나 이를 통해서, 현재 채권 급락으로 글로벌 경제의 취약성에 대해 확실히 인식하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며, 아마도 많은 국가나 투자자들이 자국 채권 가격 방어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10031818i

 

[속보] BBC "영국 소득세 감세안 철회할 듯"

[속보] BBC "영국 소득세 감세안 철회할 듯", 오현우 기자, 국제

www.hankyung.com


<미국 주식 시황>

공포 탐욕 지수

→ 8월 26일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이 연설한 이후, VIX가 치솟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9월 21일 미국 금리 인상 이후, VIX가 급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VIX지수가 30을 넘으면 보통 매수하기 괜찮은 시점으로 분석합니다. 최근 가장 저점이 나온 날인 6월 16일 VIX는 34.8이였습니다.

→ 10월 3일 VIX지수는 30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아직은 추세선 하단에 위치함으로 추가 상승도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주요 지수

다우 +2.66% / S&P500 +2.59% / 나스닥 +2.27% / 러셀 2000 +2.66%

▷미국 주요 지수 일봉 차트

 9월28일에 영국 은행이 긴급 채권 매입에 들어갔습니다. 영국 정부의 감세 정책으로 인해 영국 장기 국채 금리가 폭등하자 여기에 투자하는 영국 보험사 및 연기금이 마진콜 위기에 처한 것 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 영국 은행이 급히 장기 국채 매입을 시작했는데요.

 

결국 이는 시장에 돈을 푸는 양적 완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국 은행에 대응을 보면서, 미국 주식 시장 또한 Fed가 양적 긴축을 멈추고 양적 완화로 돌아서는 것을 기대하며, 주가는 상승 마무리하였습니다.

 

9월30일 장중 나스닥 종합지수의 변동성이 엄청났습니다. 이미 장 시작전 높은 PCE가 발표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로존 또한 전년 대비 CPI가 10%에 달하는 등 위기감이 고조된 상황이였습니다. 특히 심각한 점은 영국 은행이 자국내 보험사와 연기금의 마진콜을 막기 위해 긴급 채권 매입을 하고있다는 것 입니다.

 

물론 기술적 분석상으로도 올해 6월 저점을 잘 버텨주고 있고 일부 투자자분들은 영국 은행의 긴급 국채 매입대응을 보면서 미국 연준 또한 긴축을 늦출 수 있다는 희망적인 관측을 하기도 했지만, 결국 미국 3대 지수는 6월 저점을 깨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마무리되었습니다.

 

10월 3일은 정말 서프라이즈한 하루였습니다. 우선 장 시작전부터 영국의 소득세 최고세율 인하안 철회 뉴스가 발표되면서, 채권 가격 하락으로 인해 보험사, 연기금 또는 글로벌 투자 은행들이 해왔던 채권에 대한 레버리지 투자가 마진콜을 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다소 줄어들자 시장이 상승하기 시작한 것 입니다. 

 

그 후, 11시경 미국의 제조업 PMI고용지수가 48.7로 발표되자 시장은 또 한번 상승했습니다. 고용지수가 50이하로 감소했다는 것은 고용시장이 조금씩 냉각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Fed가 긴축에 대한 속도를 조절하기에 적당한 구실입니다.

 

지금 시장은 Fed에게 조금만 속도를 늦춰달라고 무언에 압박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Fed는 과거 2019년에도 점진적으로 양적 긴축을 줄였었죠. 그러나 과연 이번에도 2019년 처럼 흘러갈지는 모르겠습니다. 워낙 유동성을 많이 풀었고, 미국의 부채도 높은 상황이기 때문이죠. 그래도 다행인 점은 현재 미국 기준 금리 3.25%까지 큰 문제 없이 달성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실업률 급등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 입니다. 

 

그러나, Fed 입장에서는 미국의 미래 성장 경쟁력(4차 산업과 먹거리들이 모두 미국에 있죠)이 강하고, 고용률도 높은 현 시점이 미국의 부채를 줄이고 미래를 위한 긴축을 하기에 최고의 상황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연준 의원들의 발언을 주의 깊게 듣고 의중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2022.10.04 - [주식 정보/미국) 시황 체크] - 미국 채권 시황) 영국 감세안 철회, 반등하는 채권 시장! _22년10월1일

 

미국 채권 시황) 영국 감세안 철회, 반등하는 채권 시장! _22년10월1일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개인 투자자로서, 매일 시장 정보와 개인적인 생각을 기록한 글 입

hamond.tistory.com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매일 변화하는 섹터별 주가 등락과 기업별 뉴스 및 어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0.04 - [주식 정보/뉴스 리뷰] - 미국 기업 뉴스) 테슬라(TSLA) -8.61% 급락 이유? _22년10월4일

 

미국 기업 뉴스) 테슬라(TSLA) -8.61% 급락 이유? _22년10월4일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개인 투자자로서, 매일 시장 정보와 개인적인 생각을 기록한 글 입

hamond.tistory.com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2022.10.04 - [주식 정보/미국) 주식 일정 체크] - 22년 10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22년 10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0월 3일)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9월 미국 ISM 제조업 고용 지수 →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52(예측 51.8) 확장 국면, ISM 제조업 고용지수 지수 48.7(예측53) 악화(시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2022.04.04 - [주식 정보/주식 공부] -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과거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후, 나스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22년 4월 1일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항상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과 2년 물 국채 수익률의 차이가 마이너스에 도달하면, 1~3년 이내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습니다. (위 그래프는 10년 물과 2년

hamond.tistory.com

2022.01.12 - [주식 정보/주식 공부] - 온고지신! 미국 2014~2018년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긴축 시기! 나스닥지수 움직임은 어땠을까? 정리해보았습니다.

 

온고지신! 미국 2014~2018년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긴축 시기! 나스닥지수 움직임은 어땠을까? 정

테이퍼링-금리인상-양적 긴축에 대한 나스닥 지수 움직임 2014년 테이퍼링 시작 시기 과거 2013년 5월 연준은 테이퍼링에 대해서 언급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제 시행은 2014년 1월이었습니다. 2014년 1

hamond.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