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월 2일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PMI)
→ 4월 PMI 55.4 (예측 57.6) 악화
2. 5월 4일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ISM 비제조업구매자지수(NMI), 원유재고
→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247K (예측 395K) 악화, ISM 비제조업구매자지수(NMI) 57.1(예측 58.5) 악화, 원유재고 1.302M(예측 -0.829M) 양호
3. 5월 5일 새벽 3시 금리결정, 3시 30분 FOMC 기자회견, OPEC회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FOMC 기자회견 내용 : 금리 인상 50bp(이번 인상으로 미국 기준금리 1%), 6월1일 부터 매달 국채 300억 달러, MBS 및 기관채는 175억 달러씩 축소 ( 6~8월(3개월)에 조금씩 축소 금액을 증액하여, 3개월 후, 최대 국채 600억 달러, MBS 및 기관채 350억 달러 축소 계획 )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00K(예측 182K) 악화, OPEC+ 완만한 증산 속도 유지 (기존 증산 계획 유지) 다음 회의 6월 2일
4. 5월 6일 비농업고용지수, 실업률
→ 비농업고용지수 428K(예측 391K) 양호, 실업률 3.6%(예측 3.5%) 소폭 악화
5. 5월 11일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CPI)
→ 전년대비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6.2%(예측6.0%) 악화, 소비자물가지수 (CPI) 8.3%(예측8.1%) 악화
6. 5월 12일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PPI)
→ 전년대비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8.8%(예측8.9%), 생산자물가지수 11.0%(예측10.7%)
→ 꼭 확인해보셔야할 점은 20년부터 22년까지 YOY 생산자물가지수를 살펴보면, 항상 PPI가 상승했었으나, 5월에 유일하게 이전 달에 비해 감소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계절성이 제거된 YoY기준으로 체크) 다음달 PPI 또한 감소한다면 인플레이션이 꺾였다고 볼 수 있으므로, 유심히 살펴야겠습니다.
7. 5월 17일 근원 소매판매, 소매판매
→ 전월대비 근원 소매판매 0.6%(예측 0.4%) 양호, 소매판매 0.9%(예측 0.9%) 양호
8. 5월 19일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8K(예측200K) 악화,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 2.6(예측16.0) 악화
9. 5월 25일 근원 내구재 수주
→ 전월대비 근원 내구재 수주 0.3% (예측0.6%) 악화
10. 5월 26일 FOMC회의록 공개, 미국 GDP, GDP물가지수
→ 미국 1분기 GDP -1.5% (예측 -1.3%) 악화, 1분기 GDP 물가지수 8.1%(예측8.0%) 악화, 신규 실업수당청구
11. 5월 27일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PCE)
→ 전년대비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4.9%(예측4.9%) 양호, 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PCE) 6.3 (전년6.6) 양호
'미국 주식 > 미국 경제 지표 발표 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2년 9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예상을 깬 CPI, PPI 결과 (0) | 2022.09.02 |
---|---|
22년 8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양적긴축(QT) 거의 다 끝나간다. (0) | 2022.07.25 |
22년 7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양적긴축(QT)가 절반 이상 지나는 시점 (0) | 2022.07.07 |
22년 6월 미국 주식 일정) CPI, PPI 그리고 금리결정 (0) | 2022.06.02 |
22년 4월 미국 주식 주요 일정 모음 (0) | 2022.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