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기업 뉴스

미국 기업 뉴스) Fixed income으로 이동하는 자금 흐름 _23년1월6일

by O.A. Balmy 2023. 1. 6.
반응형

<1월 5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 1월 3일) 테슬라(TSLA) 주가 하락 이유 외신 뉴스 종합

테슬라(TSLA)의 주가가 12.2%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하락 이유는 4분기 차량 인도량이 월가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테슬라는 총 439701대를 생산하였으며, 그중 405278대를 배송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Tesla Vehicle Production & Deliveries and Date for Financial Results & Webcast for Fourth Quarter 2022 | Tesla Investor Relation

AUSTIN, Texas, January 2, 2023 – In the fourth quarter, we produced over 439,000 vehicles and delivered over 405,000 vehicles. In 2022, vehicle deliveries grew 40% YoY to 1.31 million while production grew 47% YoY to 1.37 million.

ir.tesla.com

이는 월가 예상치인 427000대에서 약 21722대 모자란 수치입니다. 또한 최근 테슬라가(TSLA) 강력한 할인 정책을 펼치면서 차량을 판매했었으므로, 실제 4분기 영업 이익률은 예상치보다 더 크게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주가 하락을 불러온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긍정적인 부분은 인도량은 컨센대비 5.5% 정도밖에 차이 나지 않았으며, 전년 대비 생산량은 47%, 배송량은 40% 증가한 수치로 여전히 강력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입니다.

 

테슬라 측에서는 인도량이 예상에 부합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 여전히 물류 문제가 있다고 밝혔는데요. 22년도 중순에 밝혔던 것처럼 지역별로 기존 운송망을 새롭게 재편하면서 일시적인 배송 부족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장에서 모델 S, X,3, Y를 생산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베를린에 위치한 공장에서는 모델 Y밖에 생산하지 못합니다. _아직은 증설 단계)

 

Tesla incentives help realize record deliveries in the fourth quarter—but they're still short of Wall Street estimates

Tesla's deliveries of 405,278 cars in the fourth quarter compare to an average estimate of 420,760. It also missed its target of 50% growth for the full year.

fortune.com

 

→ 1월 4일) 코인베이스(COIN)의 주가 12.2%로 급등 이유는 규제 기관과의 합의?

코인베이스(COIN)의 주가가 12.2%로 급등하였습니다. 급등한 이유는 코인베이스(COIN)가 그동안 충분한 신원 조회 없이 코인베이스 계좌를 개설할 수 있었던 부분에 대해서, 미국 뉴욕주 금융서비스부(NYDFS)로부터 5천만 달러의 벌금과 향후 2년 동안 5천만 달러를 투자하여 NYDFS의 감독하에 이 부분을 개선하도록 판결했기 때문입니다.

 

Coinbase Will Pay $50M Fine to New York Regulator to Settle Background Check Charges

The settlement will also require Coinbase to invest $50 million to bolster its compliance program.

www.coindesk.com

코인베이스에 대한 뉴욕금융서비스부 판결

 

언뜻 들으면, 벌금도 맞고 규제기관으로부터 감독도 받으므로 코인베이스에는 악재로 보일 수 있는데요. 그 동안 FTX거래소 사태로 인하여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신뢰성이 하락한 상태에서 코인베이스는 오히려 당당히 NYDFS와 협력함으로써 암호화폐가 한걸음 더 제도권 안으로 다가섰다고 평가받는 것 같습니다.

 

→ 1월 5일) ETF를 통해 자금 이동을 살펴보면

현재 자금 이동은 Fixed income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ETF들이 채권을 추종하는 ETF들인데요. 반면 기술주, 성장주 등에서는 자금이 빠져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금 이동은 현재 미국의 금리가 고점이며, 천천히 하락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경제 지표 발표 일정) 23년 1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월 5일) ISM 제조업고용지수 (12월),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12월),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12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

hamond.tistory.com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 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1월 4일 ETF 자금 흐름>

 

<1월 4일 자산군에 따른 자금 흐름>

 

미국 개별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보기 좋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인플레이션은 이제 더 이상 문제가 아니다. _23년1월6일

→ 1월 4일) 강한 노동 시장 그러나 제조업 PMI는 하락! 1월 5일 새벽 미국 노동부 JOLTs (구인, 이직 보고서) (11월) 1045.8만 건(예측 1000만 건),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12월) 48.4(예측 48.5)로 발표되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소리 없이 오르는 미 국채 가격. _23년1월6일

→ 1월 4일) 일본 채권은 매도, 미국 채권은 매수? 일본이 20년물 채권 수익률에 대한 병동폭을 0.25에서 0.5로 확대한 것에 대해 시장에서는 일본이 그 동안 고수해오던 채권 수익률곡선 통제 정책(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 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