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7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 개별 기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보기 좋습니다.
→ 11월 13일 중국 알리바바(BABA)와 징둥(JD) 중국 광군제 매출 비공개
광군제는 중국의 기념일로 전세계에서 매출액 기준으로는 가장 큰 쇼핑 이벤트입니다. 알리바바와 징둥 모두 이러한 광군제 이후, 항상 매출을 공개해왔는데요. 올해는 공개하지 않기로 밝혀 화재가 되고있습니다.
두 기업 모두 매출은 전년과 비슷하다고 밝히고 있으나, 실제 택배 배송량이 전년 대비20%정도 감소한 것으로 집게되면서 사실상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에 밝히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중국의 내수 시장과 관련하여 비슷한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중국의 내수 경제가 점차 식고 있다는 뉴스가 많이 돌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이 식어간다-무역뉴스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최근 중국이 20차 중국 당대회를 마무리하고, 시진핑 3기가 공식 출범하였는데요. "당이 통제하는 경제"를 추구하는 시진핑 국가 주석으로 인해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리스크가 크게 올라가면서, 많은 기관들이 중국에 대한 투자를 망설이고 있으며, 기업들 또한 중국에서의 생산 공장을 다른 나라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국의 부동산 위기는 현재 진행형으로 중국은 건설사들의 연쇄적인 부도를 늦추기 위해 대출 기한 연장, 임대주택 건설 및 인수합병 등 구제정책을 위한 돈풀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의 실적 발표일 11월 17일 징둥 닷컴의 실적 발표일 11월 18일을 주목해야할 것 같습니다.
→ 11월 14일 미국 아마존(AMZN) 1만명 직원 해고
최근 미국 기업들이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직원 3700명을 해고한데 이어, 메타와 아마존이 각각 11000명, 10000명에 직원을 해고한다고 밝혔는데요. 메타에서는 이러한 비용에 대한 조정이 기업의 이익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관측이 나오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아마존(AMZN) 또한 향후 기업 이익측면이 다소 개선되리라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 11월 16일 미국 마이크론(MU) DRAM 및 NAND의 생산 20% 줄인다.
미국 마이크론(MU)이 2023년에 시장 전망 악화를 예상하며, DRAM 및 NAND의 생산을 20% 감축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마이크론에 발표로 인해 주가는 7%가까이 하락하였는데요. 이 발표로 인해 마이크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섹터 전체가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11월 17일 BJs Wholesale Club 컨퍼런스 콜 이후 주가 -5.55% 하락
미국의 대표적인 마트 체인인 BJs가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이런 미국의 마트 기업 주가는 미국인들의 소비 여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발표한 실적은 주당 순이익 0.99(예측0.83) 매출 46.9억 달러(예측 46.5억 달러)로 어닝을 비트하였는데요. 주가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가 하락 이유는 컨퍼런스콜에서 경영진이 2023년에는 2022년 보다 실적이 낮을 수 있다고 발표하였는데요. 이와는 반대로 웰스파고의 에드워드 켈리 애널리스트는 오히려 BJ에 대한 매수를 권하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순익이 늘어날 것이므로 전망이 좋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주가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황) 불라드 총재 기준금리 최대 7%까지 올릴 수 있다. _22년11월18일
공포 탐욕 지수 → 11월 8일 VIX지수가 상승하면서, 기술적 분석상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모습입니다. 11월 10일에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예정되어있으므로, 지수가 발표된 후 정확
hamond.tistory.com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황) 중국 정부, 은행 유동성 현황 조사와 국채 시장 _22년11월18일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초 단기 금리(3개월 물) : 단기적인 자금 유통과 관련됩니다. 급등은 단기적 시장 위험을 의미 단기 금리(2년 물) : 기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올해 미국 금리가
hamond.tistory.com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22년 10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1. 영국 정부 열흘만에 감세안 철회 → 글로벌 증시를 흔들었던 영국의 소득세 최고세율 인하안이 열흘만에 철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영국 정부 감세안]→[채권 급락]→[보험사, 연기금 마진
hamond.tistory.com
22년 10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0월 3일)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9월 미국 ISM 제조업 고용 지수 →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52(예측 51.8) 확장 국면, ISM 제조업 고용지수 지수 48.7(예측53) 악화(시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미국 주식 > 미국 기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기업 뉴스) 테슬라(TSLA) 하락 문제는 트위터(TWTR) 운영? _22년11월22일 (0) | 2022.11.22 |
---|---|
미국 기업 뉴스) 엔비디아(NVDA)를 보면서 느끼는 반도체 섹터의 현실 _22년11월19일 (1) | 2022.11.21 |
미국 기업 뉴스) 미국 마이크론(MU) 수요 둔화로 인해 반도체 공급 줄인다! _22년11월17일 (0) | 2022.11.17 |
미국 기업 뉴스) 미국 기업들 대대적인 구조조정 중 _22년11월15일 (0) | 2022.11.15 |
미국 기업 뉴스) 알리바바(BABA)와 징둥 닷컴(JD) 광군제 매출 공개 안한다? _22년11월12일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