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기업 뉴스

미국 기업 뉴스) 알리바바(BABA)와 징둥 닷컴(JD) 광군제 매출 공개 안한다? _22년11월12일

by O.A. Balmy 2022. 11. 14.
반응형

<11월 11일 미국 기업별 주가 및 뉴스>

섹터별 등락률 변화

1일/한달/3달/반년 섹터별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ETF로 보는 시장 상황

미국 ETF의 등락률을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살펴봅니다. 특히 주가 MAP과는 다르게 채권이나 원자재, 개발도상국 지수 추종 ETF 등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큰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 개별업 주가 등락

미국 S&P500에 속한 기업들의 주가 등락을 살펴봅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주가가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섹터 내 대장주, 주도주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섹터의 성장성을 가늠해보기 좋습니다.

→ 11월 9일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를 매도했다는 소식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 주식을 11월 4일~8일에 걸쳐 39억 달러 가량 매도하였습니다. 이러한 주식 매도는 적자 덩어리인 트위터를 부양하기 위해서라는 의견이 많은데요.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일론 머스크의 주식 매도 소식은 투자자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11월9일 주식 시장 전체 분위기 또한 좋지 않았던 만큼 테슬라의 주가가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반면, 금일 테슬라 주가가 하락할 때, 열심히 매수한 사람이 있는데요. 바로 캐시 우드 입니다.

 

2022.11.9(수) 아크인베스트먼트 매매 내역

2022.11.9(수) 아크인베스트먼트 매매 내역 ARKK 매매 티커 기업명 거래 주식 수 ETF내 비중 변화% Buy ZM ZOOM VIDEO COMMUNICATIONS 133,834 0.1409 Buy RBLX ROBLOX CORP 291,971 0.1408 Buy COIN COINBASE GLOBAL INC 207,527 0.1385 Buy T

hamond.tistory.com

 

 

→ 11월 9일 에너지 섹터가 가장 크게 하락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그 원인을 코로나19 봉쇄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그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는데요. 확실히 현재 중국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자국내 수요 부진, 수출 둔화와 더불어 중국에 대한 해외 투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오히려 디플레이션에 빠지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는 것이죠. 특히나 중국인들의 자본 대부분이 부동산에 묶여있는 만큼 과거 일본처럼 극심한 장기 불황을 겪을지도 모를 일 입니다. (중국 부동산 문제가 심각한 상황... 빈집이 5천만채 이상 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중국의 경기 침체 위기는 향후 유가 하락에 원인이될 수 있습니다. 금일 에너지 섹터가 가장 크게 하락하였는데요. 물론 가장 많이 상승했던 섹터이기도 하지만, 앞서 언급드렸던 이유 또한 생각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 11월 10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를 하회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가 하락하고,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는 소폭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을 견인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에 하락은 미 연준이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속도를 다소 늦출 수 있는 만큼 기준 금리 변화에 민감한 성장주들과 테크주들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시장 금리가 이미 고점을 형성한 상황이라면, 향후 혁신적인 작은 성장주들이 크게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앞서 말씀올렸던 것 처럼 결국 지금의 미국 상황(미국 재정 부채, 환경오염, 대체에너지, 리쇼어링, 인프라투자, 글로벌 공급망 붕괴, 5차 산업, 인플레이션)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5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생산량 증가밖에 없기 때문에 미국은 이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기 위해 국가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11월 13일 중국 알리바바(BABA)와 징둥(JD) 중국 광군제 매출 비공개

광군제는 중국의 기념일로 전세계에서 매출액 기준으로는 가장 큰 쇼핑 이벤트입니다. 알리바바와 징둥 모두 이러한 광군제 이후, 항상 매출을 공개해왔는데요. 올해는 공개하지 않기로 밝혀 화재가 되고있습니다.

 

두 기업 모두 매출은 전년과 비슷하다고 밝히고 있으나, 실제 택배 배송량이 전년 대비20%정도 감소한 것으로 집게되면서 사실상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에 밝히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중국의 내수 시장과 관련하여 비슷한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중국의 내수 경제가 점차 식고 있다는 뉴스가 많이 돌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이 식어간다-무역뉴스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최근 중국이 20차 중국 당대회를 마무리하고, 시진핑 3기가 공식 출범하였는데요. "당이 통제하는 경제"를 추구하는 시진핑 국가 주석으로 인해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리스크가 크게 올라가면서, 많은 기관들이 중국에 대한 투자를 망설이고 있으며, 기업들 또한 중국에서의 생산 공장을 다른 나라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국의 부동산 위기는 현재 진행형으로 중국은 건설사들의 연쇄적인 부도를 늦추기 위해 대출 기한 연장, 임대주택 건설 및 인수합병 등 구제정책을 위한 돈풀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의 실적 발표일 11월 17일 징둥 닷컴의 실적 발표일 11월 18일을 주목해야할 것 같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및 주식 시황>

매일 변화하는 미국 주요 지수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매일 변화하는 장단기 금리차 및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를 통해서 장기적인 시장 변화를 먼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과 발표된 지표 결과를 바라보는 시장의 해석입니다.

 

22년 10월 미국 증시 주요 뉴스 모음

1. 영국 정부 열흘만에 감세안 철회 → 글로벌 증시를 흔들었던 영국의 소득세 최고세율 인하안이 열흘만에 철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영국 정부 감세안]→[채권 급락]→[보험사, 연기금 마진

hamond.tistory.com

 

22년 10월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1. 10월 3일)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9월 미국 ISM 제조업 고용 지수 → 9월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52(예측 51.8) 확장 국면, ISM 제조업 고용지수 지수 48.7(예측53) 악화(시

hamond.tistory.com


꼭! 잊지 말고 확인하세요.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미국 주식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들은 서로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 [채권 시장]의 움직임은 [주식 시황]보다 선행하여 추세적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는 지표를 확인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주식 시황]에 영향을 줍니다.
  • [주식 시황]은 시장의 분위기로서 [기업별 주가 및 뉴스]에 영향을 줍니다.

시장에 대한 시기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지수 시황], [미국 기업별 주가 시황]
  • 장기적인 시장 정보 : [미국 채권 시장 시황], [미국 주요 지표 발표 일정 및 결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트위터에 주식 시장과 관련 있는
해외 기사 링크를 리트윗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고 의견을 나누면 좋겠습니다.

 

 


 

헤스티아몰

헤스티아는 전통적인 지갑, 핸드백 형태에서 벗어나 가장 현대적인 가죽 제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hestiamall.kr


반응형

댓글